아주경제 조현미 기자 = 미래에 대한 불안 또는 직장이나 가정생활의 스트레스로 강박장애를 겪는 사람 가운데 20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강박장애 자료를 보면 2010년 2만490명이던 진료인원이 2014년에는 2만3174명으로 13.1%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강박장애로 병원을 찾은 환자가 매년 3.1%씩 증가한 셈이다.
같은 기간 진료비는 110억원에서 131억원으로 연평균 4.6% 증가했다.
2014년을 기준으로 보면 환자는 20~30대 젊은층이 많았다. 인구 10만명당 20대 환자가 86.3명으로 가장 많고 30대(61.8명), 40대(43.4명), 70대(35.9명)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이선구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강박장애는 전형적으로 10대와 20대에 많이 발병하며 치료를 받지 않다가 증상이 심해져 병원을 찾는다"며 "미래에 대한 불안감, 직장과 가정생활의 어려움 등이 스트레스로 작용하는 것도 영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성별로는 남성 환자가 1만3395명으로 전체의 57.8%를 차지했다. 이는 여성의 9779명보다 1.4배 많은 수치다. 반면 연평균 증가율은 여성이 3.4%로 남성 2.9%보다 높았다.
강박장애는 불안장애의 하나로, 환자 자신이 지나치고 불합리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강박적인 사고나 행동을 계속해 일상생활이나 직업, 사회활동에서 제한을 받는 증상이다.
원하지 않는 생각이 반복적으로 나는 강박적 사고와 이로 인한 불안감을 조정하기 위해 강박적 행동으로 나뉜다. 숫자 세기, 대칭 맞추기 등이 강박적 행동에 속한다.
치료법에는 약물치료, 인지행동치료 등이 있다. 개인별로 약물 반응이나 부작용이 달라 각 개인에 맞는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해야 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