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장슬기 기자 = 임종룡 금융위원장(사진)은 12일 "손해보험사들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노력이 있었지만 성과가 크지 않았다"며 "해외진출이 가장 용이한 기업성보험 활성화와 해외진출 지원방안을 논의할 민관합동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실질적 변화를 이끌어보려 한다"고 밝혔다.
임 위원장은 이날 서울 종로구 생명보험교육문화센터에서 열린 '2016년 보험산업 전망 관련 전문가 간담회'에서 "금융당국이 일방적으로 주도하는 방식이 아닌, 시장과 머리를 맞대고 소통하며 개혁을 추진할 것"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임 위원장은 "우리 보험산업의 경우 총자산과 당기순이익 증가로 표면적으로는 양적 성장과 수익개선이 지속되는 듯 보이지만, 저성장 기조 및 저출산 심화로 향후 보험산업의 지속성장을 장담하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어 "저금리 지속에 따른 투자환경 악화, 국제회계기준(IFRS4) 2단계 도입 관련 국제적 논의의 불확실성 등 불안한 측면이 상존하고 있다"며 "지난해 발표한 보험산업 경쟁력 강화 로드맵을 흔들림없이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보험상품 표준약관 정비와 관련해선 "올초 보험상품 가격 자율화가 시행됐고, 상품자율화 등은 관련 법규 입법예고를 마치고 현재 규재개혁위원회에서 협의 중에 있다"며 "예정대로 4월 초 제도정비가 마무리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임 위원장은 보험상품 개혁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앞으로 보험산업의 성패는 보험업계 스스로 혁신적인 보험상품을 얼마나 잘 개발하는지에 달려있다"며 "빅데이터를 활용해 저렴하고 새로운 형태의 보험상품 출시와 같은 보험업계의 노력에 대해 금융당국도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