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정부는 평택·원주·군산·칠곡·대구·기장 등을 사드 배치 후보지로 논의 중인 가운데, 국방부는 주민과 환경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는 미국 측의 안전기준을 사드 배치 지역의 지형적 조건에 맞게 적용한다는 방침을 두고 있다.
사드 배치 후보지 중 원전이 밀집해 있는 부산 기장 지역의 주민들과 시민단체, 정가에서도 우려 섞인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부산 기장 지역 시민단체들은 "원전에 기장해수담수 수돗물 공급에 사드 배치까지, 주민들의 안전문제가 심각하다"며 "사드 배치 지역으로 선정된다면, 부산뿐만 아니라 경남·울산 지역까지 위협받을 수 있다. 이 지역의 사드배치 문제는 고려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산 기장군의 이모씨(42)는 "기장군이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지만, 정부의 올바른 선택을 바란다. 기장군은 동남권 지역의 주민들이 밀집되어 있는 곳이다. 이곳에 사드 배치를 반대한다. 또 사드에서 나오는 전자파가 지역 주민들의 건강과 생활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고 있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한편, 부산 기장군이 사드 배치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는 가운데, 4·13 총선에서 이 지역 후보들에게도 사드 배치 사안은 주민 들의 안전문제 이슈로 급부상할 전망이며, 향후 사드 배치 후보지에 대한 논란은 당분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