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의 '서울계약마당(http://contract.seoul.go.kr)'이 18일 공식 오픈한다고 밝혔다. 그간 발주계획은 각 홈페이지, 입찰단계의 경우 조달청(G2B), 행자부(e-호조)에서 계약 후 계약정보를 각각 관리‧공개했다.
이번 시스템 구축으로 공공계약과 관련한 전 과정이 본격 통합된다.
발주계획은 기관이나 부서별 모든 공사‧물품‧용역에 대해 시기, 사업비, 사업 담당자 전화번호를 분기별로 공개한다. 기존 연초에 연간 한 차례, 일정금액 이상만 공개하던 것에서 대폭 확대시켰다.
입찰단계에서는 전 진행과정을 조달청과 연계해 공고문, 제안요청서 등 7만9000여 건을 알려준다. 낙찰자결정 단계는 입찰참가 업체와 금액 및 순위 등 결과를 제공해 투명성을 키운다.
계약 상세내용, 하도급, 변경계약, 대금지급 등 정보는 행자부와 함께 기업들의 책임있는 사업수행을 유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또 (중증)장애인 및 여성·중소기업 등 우수제품을 만들어 판매하는 13만5000여 개 소규모 사회적 취약기업과 제품정보를 망라해 서비스한다. 아울러 해당 위치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지도로 표시한다.
조욱형 서울시 재무국장은 "그간 제각각 공개되던 시의 계약정보를 한 곳에서 통합적으로 선보이게 됐다"며 "공사, 용역에 입찰을 희망하는 기업들의 참가 기회가 더욱 확대되고 계약 공정성과 투명성도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