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2/18/20160218100506228250.jpg)
2015년 전국연안 WQI 수질 등급 현황[그래픽제공 = 해양수산부]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지난해 우리나라 연안해역의 수질이 전년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수산부가 18일 발표한 '2015년 해양환경측정망 운영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연안해역의 평균수질은 화학적산소요구량(COD) 1.21mg/L 수준으로 2014년 1.23mg/L 대비 소폭 개선됐다.
해역별로는 동해가 평균 0.83mg/L로 가장 깨끗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해 1.25mg/L, 서해 1.55mg/L 순으로 조사됐다.
또한 전체 417개 측정지점 중 78%가 수질지수(WQI) '좋음' 단계인 2등급 이상을 받아 전년 71%에서 7%포인트 올랐다.
WQI란 해수 수질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산소농도, 식물성 플랑크톤 농도, 투명도, 질소 및 인 농도 등 5가지 지표를 조합한 수치로 1등급부터 5등급으로 나뉜다.
1등급을 받은 지점은 총 203개소, 2등급 이상은 124개소였으며, '나쁨' 수준인 4등급 이하 비율은 16개소에 그쳐 2014년 45개소에 비해 크게 개선됐다.
그러나 울산연안, 마산만 내측, 시화호 내측 등 특별관리해역 중 육상오염물질 유입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일부 지점과 진해만, 군산연안, 낙동강하구, 섬진강하구 등에서는 4등급 이하의 결과를 보여 수질개선을 위한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해수부는 해역별로 오염원인 분석 및 추가 정밀조사를 실시하고 특별관리해역으로 추가 지정해 연안오염 총량관리를 시행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
송상근 해수부 해양환경정책관은 "해양수질측정망을 활용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수질개선 정책을 시행할 계획"이라며 "오염퇴적물 정화 대상 해역 선정 시 우선 고려되도록 하는 등 오염저감을 위한 조치를 시행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2015 해양환경 조사연보'에 수록해 관련기관 등에 배포할 예정이며 인터넷 해양환경통합정보시스템(MEIS, www.meis.go.kr)을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