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2/22/20160222105442341315.jpg)
[지난해 7월 경기도청에서 열린 푸드트럭 팸투어 때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시잔=서울시 제공]
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서울 서초구가 정부의 규제개혁 중점분야인 '푸드트럭'을 지역 명품브랜드로 발전시킨다. 당장 특정장소에서만 운영하던 것을 허가된 장소간 이동이 가능토록 '프리존(Free Zone)' 도입으로 영업촉진을 꾀한다.
서울 서초구(구청장 조은희)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서초형 푸드트럭 활성화 방안’을 22일 발표했다. 내달부터 지역 내 공원 하천 등 15곳에서 푸드트럭이 시범운영에 들어갈 예정으로 차별화된 디자인과 메뉴 개발의 마무리 작업 중이다.
구는 가칭 '서리풀 푸드트럭' 탄생에 앞서 지역의 도시공원, 하천, 체육시설, 구청사 등 다중시설 15개소의 사전조사를 마쳤다. 이후 영업자 모집 공고, 사업자 설명회 및 선정 등의 과정을 완료했다.
서초구가 푸드트럭 활성화 전면에 나선 건 청년실업 문제 해소 일환으로 2014년 정부의 관계법령 개선 등 의지에도 각종 제한이 많아 당초 입법개정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구는 앞으로 영업이 허용된 지역간에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시범운영으로 드러난 문제점을 서둘러 보완시킨다. 아울러 구의 대표적 이벤트인 '서리풀축제' 기간 50대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동시에 불법 노점상은 강력한 단속으로 근절에 힘쓴다.
특히 서초구는 푸드트럭 영업자 부담 장소 사용료, 저소득층의 점용료 감면 또는 면제 방안을 강구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영업자의 경우 미취업 청년실업자와 기초생활보장법상 급여수급자는 물론 장애인 한부모가정, 다문화가정, 북한이탈주민, 경력단절 여성 등에게 문호개방으로 일자리 기회를 대폭 늘린다.
장기적으로 제도상 현재 장소 개념의 푸드트럭 영업신고를 장소가 아닌 영업자 차량으로 변경, 전국 어디서든 이동영업이 가능토록 신고체계를 개선하는 내용을 골자로 서울시와 중앙정부에 건의할 계획이다.
조은희 서초구청장은 "청년 푸드트럭 운영자에 실질적 도움을 주고자 불합리한 규제 요소를 완화해 추진하게 됐다"며 "향후 위생교육 강화, 분야별 준수 수칙 제정과 이행 실태 지도 점검 등을 통해서 바른 먹거리 문화로 정착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