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최근 소모성자재구매대행(MRO) 가이드라인 적용 여부를 놓고 대기업과 중소기업계가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MRO 관련 단체들이 업계 1위인 LG 서브원을 규탄하고 나섰다.
(사)한국산업용재협회 MRO 관련 중소상공인단체들은 22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LG 서브원의 시장침탈 중단을 촉구했다.
MRO 사업이란 기업활동에 필요한 소모성 간접자재(사무용품, 공구, 전산용품 등)를 수요기업에 공급하는 사업이다.
현재 지난 2011년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합리적인 시장분담을 위해 가이드라인이 제정돼 2014년 적용기간 만료된 상태다.
LG 서브원, 아이마켓코리아, KeP 등 업계 상위 대기업 계열사들은 매출 3000억원이 넘는 MRO 기업이 연매출 3000억원 이상인 기업하고만 거래하도록 한 것이 부당하다며 반발하고 있다.
유재근 산업용재협회장은 기자회견에서 “SK(행복나래), 엔투비(포스코), KT커머스(KT)는 올해 1월 중소기업 단체들과 상생협약을 체결했다”면서 “LG 서브원은 중소·중견기업의 선택권 침해문제를 제기하는 등 상생협약 체결 거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국골판지포장공업협동조합, 한국문구유통업협동조합, (사)한국베어링판매협회 등은 “대·중소기업간 협력과 동반성장의 정신을 바탕으로 공정한 시장질서를 구축한다는 상생협약서를 LG 서브원이 합리적 사유도 없이 거부하는 것은 2011년 가이드라인 제정 합의 이전의 불공정한 시장상황으로 되돌아가자는 얘기”라며 “무차별적인 영업을 통해 중소상공업계의 생존을 무시한 채 사업을 확장하겠다는 선언”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 단체들은 향후 해당 기업과 계열사 제품에 대해 불매운동을 포함하는 강력한 대응운동을 전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 회장은 “가이드라인 적용 후 대기업 MRO사의 무차별적 영업행위 억제 효과 발생으로 중소상공업계의 판로 안정화 기여했다”면서 “MRO시장의 건강한 생태계 조성과 동반성장을 위해서라도 상생협력은 꼭 체결돼야 한다”고 말했다.
(사)한국산업용재협회 MRO 관련 중소상공인단체들은 22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LG 서브원의 시장침탈 중단을 촉구했다.
MRO 사업이란 기업활동에 필요한 소모성 간접자재(사무용품, 공구, 전산용품 등)를 수요기업에 공급하는 사업이다.
현재 지난 2011년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합리적인 시장분담을 위해 가이드라인이 제정돼 2014년 적용기간 만료된 상태다.
유재근 산업용재협회장은 기자회견에서 “SK(행복나래), 엔투비(포스코), KT커머스(KT)는 올해 1월 중소기업 단체들과 상생협약을 체결했다”면서 “LG 서브원은 중소·중견기업의 선택권 침해문제를 제기하는 등 상생협약 체결 거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국골판지포장공업협동조합, 한국문구유통업협동조합, (사)한국베어링판매협회 등은 “대·중소기업간 협력과 동반성장의 정신을 바탕으로 공정한 시장질서를 구축한다는 상생협약서를 LG 서브원이 합리적 사유도 없이 거부하는 것은 2011년 가이드라인 제정 합의 이전의 불공정한 시장상황으로 되돌아가자는 얘기”라며 “무차별적인 영업을 통해 중소상공업계의 생존을 무시한 채 사업을 확장하겠다는 선언”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 단체들은 향후 해당 기업과 계열사 제품에 대해 불매운동을 포함하는 강력한 대응운동을 전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 회장은 “가이드라인 적용 후 대기업 MRO사의 무차별적 영업행위 억제 효과 발생으로 중소상공업계의 판로 안정화 기여했다”면서 “MRO시장의 건강한 생태계 조성과 동반성장을 위해서라도 상생협력은 꼭 체결돼야 한다”고 말했다.

유재근 한국산업용재협회장(사진 가운데)이 기자회견에서 중소기업의 입장에 대해 말하고있다.[사진=중기중앙회]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