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혜란 기자 = 여야 원내지도부가 22일 선거구 획정과 쟁점 법안 협상에 나섰지만 성과 없이 정회했다. 이들은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를 포함한 '4+4' 회동으로 오후 9시 다시 만나 담판 협상을 벌일 예정이다.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와 김정훈 정책위의장, 조원진 원내수석부대표, 더불어민주당 이종걸 원내대표와 이목희 정책위의장, 이춘석 원내수석은 이날 오후 2시 45분부터 국회에서 1시간 45분가량 회동했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쟁점은 테러방지법이었다.
김용남 새누리당 원내대변인은 정회 후 기자들과 만나 "더민주는 국정원에 정보수집권을 주는 것은 권한 남용 우려가 있어서 곤란하다는 입장이고 새누리당은 권한 남용의 경우 그것을 이용해 무고할 때 가중처벌하는 조항과 여야 합의로 추천하는 인권보호관을 통해 감독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두자는 의견을 냈다"고 설명했다.
김 원내대변인은 이어 "그런데 더민주는 그것은 미흡하고, 국민안전처에 정보수집권을 두도록 하는 게 좋다는 의견을 갖고 협상을 이어갔지만 의견 차이를 크게 좁히지 못했다"고 부연했다.
김기준 더민주 원내대변인은 "테러방지법의 내용은 대테러센터가 업무를 하게 돼 있는데 국정원장에게 실질적인 업무 대부분을 넘겨주는 것은 테러방지법의 취지와 맞지 않다는 게 우리 당의 입장"이라며 "테러방지법에 따르면 영장이 없어도 감청을 할 수 있다. 국정원에 (정보수집권한을) 줬을 때 우려되는 점이 많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극단적이지만 국정원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국민 모두를 감청하고 계좌를 들여다볼 수 있다. 국정원에 그런 권한을 준다는 것을 수용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와 김정훈 정책위의장, 조원진 원내수석부대표, 더불어민주당 이종걸 원내대표와 이목희 정책위의장, 이춘석 원내수석은 이날 오후 2시 45분부터 국회에서 1시간 45분가량 회동했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쟁점은 테러방지법이었다.
김용남 새누리당 원내대변인은 정회 후 기자들과 만나 "더민주는 국정원에 정보수집권을 주는 것은 권한 남용 우려가 있어서 곤란하다는 입장이고 새누리당은 권한 남용의 경우 그것을 이용해 무고할 때 가중처벌하는 조항과 여야 합의로 추천하는 인권보호관을 통해 감독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두자는 의견을 냈다"고 설명했다.
김 원내대변인은 이어 "그런데 더민주는 그것은 미흡하고, 국민안전처에 정보수집권을 두도록 하는 게 좋다는 의견을 갖고 협상을 이어갔지만 의견 차이를 크게 좁히지 못했다"고 부연했다.
그는 이어 "극단적이지만 국정원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국민 모두를 감청하고 계좌를 들여다볼 수 있다. 국정원에 그런 권한을 준다는 것을 수용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