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월 소비자심리지수 8개월 만에 최저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 메르스사태 당시 수준이다. [자료=한은 제공 ]
아주경제 박선미 기자 = 소비심리가 3개월 연속 악화돼 작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 당시 수준으로 위축됐다.
더구나 연초부터 수출 및 내수 부진과 신흥국 경기불안 등이 겹치면서 소비자들의 향후 경기전망은 약 7년 만에 최악으로 얼어붙었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16년 2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2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8로 1월(100)보다 2포인트 떨어졌다. 2월 지수는 메르스 사태가 불거졌던 작년 6월(98)과 같아 8개월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작년 6월 이후 상승세로 돌아서 10월과 11월에 각 105까지 올랐다. 하지만 작년 12월 102로 떨어지는 등 3개월째 하락행진을 지속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기준선(2003∼2015년 장기평균치)인 100을 웃돌면 소비자들의 경제상황에 대한 심리가 장기 평균보다 낙관적임을 뜻한다.
부문별로 보면 소비자들의 6개월 후 경기전망을 보여주는 향후경기전망 지수는 75로 1월보다 3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2009년 3월 64를 기록한 이후 6년 11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현재경기판단 지수는 1월보다 3포인트 하락한 65로 집계돼 작년 7월(63) 이후 7개월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가계수입전망 지수는 98로 전월보다 2포인트 떨어지면서 역시 작년 6월(98)과 같은 수준을 기록했다.
소비지출전망 지수도 전월보다 2포인트 하락(105)하면서 작년 6월 및 7월(각 105)과 같은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6개월 전과 비교한 현재의 생활형편을 보여주는 현재생활형편 지수(90)와 생활형편전망 지수(96)는 각각 1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