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세계은행 총재 김용 트위터 ]
아주경제 윤주혜 기자 = 세계 경제에 대한 회의론이 팽배해지는 가운데, 국제통화기금(IMF)이 주요 20개국(G20)이 협력해 경제 위기를 타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IMF는 G20 각 국이 정부 지출을 늘려 세계 경제 성장률 향상과 생산 증대를 이끌 것을 강조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과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외신이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날 IMF는 중국의 경기 성장 둔화와 신흥 시장 위기, 휘청이는 글로벌 금융시장 등을 경제 회복을 가로막는 위기 요인으로 지적하며 “글로벌 경제가 충격에 매우 취약한 상태”라고 우려를 표했다.
이러한 메시지는 오는 26~27일 중국 상하이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장 회의를 앞두고 나온 발표다. G20의 협력을 촉구하는 것이야말로 IMF가 G20과 이번 만남을 가지는 이유라고 WSJ는 평가했다.
IMF의 주장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지난주에 발표한 의견과 일맥상통한다. OECD는 “금융 위기에 맞서 취해야 할 긴급 조치야 말로 미국과 유럽을 포함한 주요국이 투자와 지출을 늘리는 것”이라고 역설한 바 있다.
실제로 세계 경제에 대한 위기감은 증폭되는 상황이다. IMF는 지난달 발표한 '세계경제전망 수정 보고서'를 통해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이 당초 기대를 밑돌며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고 우려를 제기했다.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을 지난해 10월보다 0.2%포인트 하향 조정한 3.4%로 수정했고 지난 2014년에 G20이 5년간 세계 경제성장률을 2%포인트 높이기로 했던 목표는 단순히 꿈으로만 끝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이번 만남에서 IMF가 원하는 방향으로 합의가 이뤄지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고 FT는 전했다.
제이컵 루 미 재무장관은 24일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이 자국내 소비를 증진하고 재정건전성이 높은 독일 같은 유럽국이 정부 지출을 늘려야 한다"며 “최근의 전세계적인 수요 부족은 단지 모든 나라들이 미국만 봐서는 해결될 수 없음을 명확히 드러낸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중국도 지난 1985년 이뤄진 플라자 합의처럼 국제 사회가 환율 조정을 공조하는 데 동의하지 않으며 유로존의 회복세를 가속화하기 위해 정부 지출을 늘려야 한다는 미국과 IMF의 주장에 독일이 명백히 반대를 표했기 때문에 IMF의 바람처럼 되기는 힘들 것이라고 WSJ는 설명했다. 이 외에도 원자재 수출국이 원자재 가격 추락으로 재정 부족에 시달리기 상황에서 정부 지출 확대에 나설 가능성도 적다고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