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참동계' '은제도금화형탁잔' 등 4건 보물 지정 예고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2-25 18:1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문화재청, 학술적·문화재적 가치 높은 문화재 4건 국가지정문화재 지정 예고

문화재청이 25일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 예고한 '주역참동계'.[사진=문화재청 제공]


아주경제 박상훈 기자 =조선 초기의 도가사상과 장례풍속 등을 살펴 볼 수 있는 '주역참동계' 등 4건의 문화재가 보물로 지정된다.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학술적·문화재적 가치가 높은 '주역참동계', '은제도금화형탁잔', '서경우 초상 및 함', '서문중 초상 및 함' 등을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25일 밝혔다.

'주역참동계(周易參同契)'는 후한조 위백양(100~170)의 저술로, 도가(道家)의 심신수련 방식과 장생불로를 위해 복용하는 단약 제조법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에 지정 예고되는 것은 명조 초기 장본진(생몰연대 미상)이 송말원초에 유염(1258~1327)이 저술한 '주역참동계발휘(周易參同契發揮)'(3편)와 '주역참동계석의(周易參同契釋疑)'(3편)를 합본한 것을 원본으로 1441년(세종 23) 초주갑인자(初鑄甲寅字)로 인출(印出)된 것이다. 이런 방식으로 간행된 '주역참동계'는 이것이 유일본이다. 
 

'은제도금화형탁잔'.[사진=문화재청 제공]


'은제도금화형탁잔(銀製鍍金花形托盞)'은 은에 금을 입힌 탁잔(托盞)으로, 잔 그리고 잔을 받치는 잔탁으로 구성된다. 잔과 잔탁의 형태는 모두 6개의 꽃잎형이며 고려 은제탁잔 가운데 가장 뛰어난 조형적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이런 탁잔은 고려 문벌귀족 문화가 화려하게 꽃피웠던 12~13세기 금속공예를 비롯해 청자에 이르기까지 널리 제작·사용되었다. 이는 1123년 송나라 사신 서긍이 고려를 방문한 뒤 기록한 '선화봉사고려도경'을 통해 그 실상을 확인할 수 있다. 문화재청은 "잔과 잔탁의 입술과 몸체 안팎에 있는 모란절지문(牡丹折枝文), 꽃무늬, 펼친 연꽃잎 모양을 연속무늬로 문양화한 연판문(蓮瓣文) 등 흠잡을 데 없이 정교한 금속공예 자료"라고 평했다.

조선 중기 문신 서경우(1573∼1645)의 '서경우 초상 및 함'은 지금까지 큰 손상 없이 본래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는 작품이다. 의복의 가슴에는 한 쌍의 학을 묘사한 쌍학흉배(雙鶴胸背)가 수놓아져 있으며, 사모(紗帽)는 끝이 평평하고 양쪽으로 펼쳐진 양각(兩脚)은 넓고 짧으면서 둥근 17세기 초의 양식을 반영한다. 아울러 양미간에 몇 개의 주름선으로 표현된 풍모와 양쪽으로 뻗치는 의자 손잡이 등도 17세기 초상화의 우수한 수준을 잘 담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서문중 초상'.[사진=문화재청 제공]


'서문중 초상 및 함'은 조선 후기 문신 서문중(1634∼1709)의 초상으로, 조선 시대 시복본(時服本) 전신좌상(全身坐像) 가운데 높은 예술성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알맞은 신체 비례와 비교적 사실적인 옷 주름선, 상(像)과 교의, 족좌대의 합리적 연관성 등은 18세기 초 이후의 양식을 뚜렷하게 반영하였고, 초상화를 보관한 조선 후기의 함도 남아 있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지정 예고한 4건에 대해 30일간의 지정 예고 기간 동안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