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의장에 따르면 최근 교육부가 통폐합 대상 학교의 학생 수 기준을 읍지역 60명 이상에서 초등학교 120명, 중고등학교는 180명 이하로 변경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 기준대로라면 전북지역은 초등학교 419개 중 235개(56.1%), 중학교는 209개 중 98개(46.9%), 고등학교는 133개 중 18개교가 통폐합 대상에 포함된다.

▲25일 서울AW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전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사진제공=전북도의회]
교육부는 강제성이 없어 시·도교육청이 자체적으로 기준을 정해 시행할 수 있다는 권고사항이라는 입장이지만 각 시도교육청에서는 교부금 삭감 등 불이익에 대한 부담감을 가질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김 의장은 "농어촌지역의 학교는 지역공동체의 구심점이며 지역의 문화와 주민소통의 중심공간으로 학교 통폐합시 해당 마을은 폐촌으로 이어질 우려가 큰 만큼 소규모 학교 통폐합 문제는 교육의 주체인 지역주민과 학생의 의사가 우선 반영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장은 "농어촌지역 소규모 학교에서의 다양한 교육과정 운영과 민주적인 학교 공동체 운영의 성공사례처럼 소규모학교는 우리나라 공교육의 성공사례로 육성, 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