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미래 먹거리 탄소산업 육성 본격 시동

  • 25일 ‘전라북도탄소산업발전위원회’ 공식 출범

아주경제 최규온 기자 =전북도가 탄소산업을 미래 먹거리산업으로 본격적으로 키우기 위해 산학연관이 참여하는 거버넌스체제를 구축했다.

전북도는 25일 도청 중회의실에서 이형규 정무부지사를 비롯 60여명의 국내 탄소기업, 연구기관, 학계 등 관련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전라북도탄소산업발전위원회’ 공식 출범식을 가졌다.

탄소산업발전위원회는 탄소관련 연구기관, 학계, 기업 등 19명의 위원으로, 위원회 내 4개 분과 실무협의회에는 40여명이 참여하는 등 총 60여명으로 구성됏다.

탄소산업발전위원회 위원장은 조례에 따라 이형규 전북도 정무부지사가 맡게 된다. 4개 분과 실무협회는 도 탄소산업과와 전북테크노파크가 공동으로 간사체제를 구축한 상태다.
 

▲25일 도청 중회의실에서 이형규 정무부지사를 비롯 60여명의 국내 탄소기업, 연구기관, 학계 등 관련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라북도탄소산업발전위원회’ 공식 출범식을 가졌다. [사진제공=전북도]


탄소산업발전위원회는 앞으로 각 분과별 실무협의회에서 탄소산업의 주요 현안의제와 정책을 발굴하고 기획해 구체적 실현 방안을 마련하면 탄소산업발전위원회에 상정, 최종 방향을 결정해 나가는 시스템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한편, 전북도는 지난해 7월 ‘탄소산업 2025 비전’ 선포식에서 메가-탄소밸리 예타 통과와 국가 공모사업 등 국가정책사업을 착실히 추진해 탄소산업 육성 정책목표로 오는 2025년까지 기업유치 240개, 매출 10조원, 고용유발 3만 5천명의 목표를 이루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러한 ‘탄소산업 2025 비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기능을 ‘탄소산업발전위원회’가 기획하고 실현해 나가겠다는 복안이다.

이형규 정무부지사는 발전위원회 출범식에서 “앞으로 탄소산업의 성장 속도를 앞당기고 전국적으로 확산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고비용 제조공정 문제 및 탄소제품 인증시스템 구축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며 “이러한 문제점 극복을 위한 R&D와 시장개척을 위한 기업지원 기반마련 등 국가정책으로 반영시킬 정책과 시책 발굴 기능을 탄소산업발전위원회 중심으로 그 역할을 담당해줄 것”을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