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2/26/20160226140734363702.jpg)
[자료=한국은행 제공 ]
아주경제 박선미 기자 = 가계부채가 사상 처음으로 1200조원을 돌파한 가운데 이자부담이 큰 제2금융권 대출액도 급증해 '빨간불'이 켜졌다.
금리인상 등 경제상황이 바뀌면 저소득·저신용 가계가 원리금 상환 부담 등으로 직격탄을 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저축은행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 대출액은 지난해 22조4000억원 늘었다.
이중 기타대출은 18조원으로 집계됐다. 이같은 제2금융권 기타대출 증가액은 관련 통계가 나온 2008년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로써 2금융권 기타대출 잔액은 149조2000억원으로 150조원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다.
기타대출은 마이너스 통장 대출과 예금·적금담보대출 등 가계가 생활비 마련을 위해 빌리는 '생계형 대출'이다.
시중은행에서 대출을 받지 못한 서민층을 중심으로 대출 수요가 늘어난데다 지난해 저축은행들이 소액대출 중심으로 공격적인 마케팅을 벌인 영향이 컸다.
문제는 이같은 생계형 대출인 기타대출에서 은행이 차지하는 비중은 적은데 반해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은 제2금융권 비중은 크다는 점이다.
지난해 은행의 기타대출 총액은 7조9000억원으로 제1금융권의 가계부채 증가액(44조1000억원)에서 비중이 18%에 그쳤다. 그러나 제2금융권의 기타대출(18조원)은 80%를 차지한다.
단순히 증가액만 두고 봐도, 제2금융권의 기타대출 증가액(18조원)이 제1금융권(7조9000억원)의 두배를 웃돈다.
제2금융권의 기타대출금리는 주택담보대출이나 은행의 기타대출 금리보다 높아 원리금 상환 부담 역시 높은 수준이다. 현재의 국내 기준금리 등 경제상황이 바뀌면 원리금 상환 부담은 더 커지게 된다.
은행이 가계에 돈을 빌려줄 때 적용하는 금리는 3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1월 말 현재 저축은행의 일반대출 평균 금리는 12.09%로 전월대비 0.63%포인트 상승했다. 또 신용협동조합은 대출금리가 4.68%로 지난해 12월보다 0.07%포인트 올랐다.
이미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위기감은 커진 상황이다. 한은은 3곳 이상의 금융기관에 빚을 져 금융취약층으로 분류되는 다중채무자를 지난해 11월 현재 353만명으로 추정했다.
금융부채가 금융자산보다 많아 금융순자산이 마이너스 상태이고,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 비중이 40%를 넘는 '한계가구'는 158만 가구로 추산됐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가계부채 양 뿐 아니라 부채의 질 개선에도 나서야 할 때"라며 "특히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금리 상승과 소득 감소 충격이 겹칠 경우 채무불이행자가 증가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