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는 4년째 이 행사에 차관급 관료를 보냈다. 올해는 일본 내각 부 정무관인 사카이 야스유키가 참석했다. 자민당 국회의원 10명을 비롯 12명의 국회의원도 참석했다.
요미우리 신문은 다케시마의 날 행사와 관련해 “영토문제의 역사적 경위나 현상에 관해 더 많은 국민이 올바른 지식을 지니고 공통 인식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여러 분야에서 일본·한국의 협력을 착실히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영토문제에 관해서는 일본의 주장을 확실히 전해야 한다”고 22일 사설을 썼다. 이처럼 일본은 다케시마에 대한 목소리를 점차 키워가고 있다. 일본 정부의 행보도 점차 대담해지고 있다.
반면 한국 정부의 목소리는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 지난 22일 다케시마의 날 행사와 관련해 한국 외무부 대변인은 "강력하게 항의하고 재발 방지를 요구한다"고 성명을 발표했다. 그러나 이런 성명의 내용을 들여다 보면 강력한 항의는 없다. 우선 비판 성명 항목 자체가 지난해 3개 항목에서 2개로 줄었다.
어찌 된 일인지 자꾸 일본 정부의 다케시마는 커지고, 한국 정부의 독도는 작아지는 모양새다. 과연 이처럼 독도를 둘러싼 양국 간의 불균형이 지속될 땐 무슨 일이 벌어질까. 벌써 11주년을 맞은 다케시마의 날이 20주년을 맞는 미래가 벌써 두려워진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