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 "세월호 사고후 자살한 단원고 교감 순직으로 볼수없어"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3-03 10:4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동재 기자 = 세월호 참사 때 단원고 강민규(당시 52세) 교감의 사망을 순직으로 볼 수 없다는 대법원의 최종 판단이 나왔다.

대법원 2부(주심 이상훈 대법관)는 강씨의 부인 이모씨가 "순직유족급여를 지급하라"며 인사혁신처장을 상대로 낸 소송에서 원고 패소로 판결한 원심을 확정했다고 3일 밝혔다.

강씨는 세월호 사고 당시 해경에 구조됐다가 이틀 뒤인 2014년 4월18일 "나 혼자에게 모든 책임을 지워달라"는 취지의 유서를 남긴챛 진도실내체육관 인근 야산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유족은 강씨 자살이 순직에 해당한다며 순직유족급여를 청구했다가 거부당했고 소송에서도 1심부터 계속 패소했다.


디지털캠프광고로고
법원은 강씨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더라도 '생명·신체에 고도의 위험을 무릅쓰고 인명구조 등을 수행하다가 위해를 입고 이런 위해가 직접 원인이 돼 사망한 경우'를 순직으로 본 공무원연금법 규정에 맞지 않는다고 봤다.

전문의들은 강씨가 자살하게 된 원인으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일종인 '생존자 증후군'을 꼽았다.
법원은 "생존자로서 받은 정신적 충격, 인솔책임자로서 자신만 살아돌아왔다는 자책감과 죄책감에서 생존자 증후군이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법원은 순직으로 인정받은 인솔교사 등 7명의 경우 구조활동을 한 점이 확인됐다며 사고현장에서 숨진 채 발견돼 강씨와는 다르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디지털캠프광고로고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