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도는 행정·재정적 지원 등으로 경남 6차산업 지원 시스템을 구축 완료하고, 경남 6차산업 인증사업자 협의회를 구성해 본격활동에 돌입한다.
6차산업(농촌융복합산업) 사업자의 인증제도는 농촌융복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8조 규정에 따라 농촌지역의 다양한 유·무형 자원을 활용해 농업과 2, 3차 산업을 연계함으로써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성장 가능성이 있는 농업인, 농업법인을 인증하여 핵심경영체로 육성하는 제도이다.
경남도에서는 지난해 80개 업체(1×2×3차 유형 73개 업체, 1×2차 유형 5개 업체, 1×3차 유형 2개 업체)가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6차산업 인증사업자로 인증서를 발급받았다.
도는 지난 4일 서부청사에서 80개 업체 인증사업자들이 모인 가운데 올해 경남 6차산업 인증사업자 협의회 총회를 개최, 6차산업 주요 정책방향 설명과 경남 6차산업 인증사업자 협의회 임원진 구성 및 협의회 활동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이에 따라 도는 경남 6차산업 인증사업자 협의회를 구성했다. 임원진은 회장 이강삼(하동 슬로푸드영농조합법인 대표), 부회장 권수열(창녕 도리원 대표), 강창국(창원 빗돌배기마을 대표), 윤금정(창원 가고파힐링푸드 대표), 사무국장 오천호(하동 에코맘의산골이유식 대표), 사무차장 최주철(거창 산약선영농조합법인 대표)로 구성하고 시·군별 지부도 결성됐다.
한편 경남 6차산업 지원센터에서는 오는 18일 경상남도농업기술원, 25일 밀양시 농업기술센터에서 ‘2016년 6차산업 사업자 인증제 권역별 사업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경남도는 6차산업 경영체 매출액을 2020년까지 14억8800만원(지난해 기준 경영체당 7억4400만원)으로 높이고, 6차산업 인증사업자 200개 업체 육성(지난해 기준 80개 업체)을 목표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박석제 도 농정국장은 “생산 위주의 농업에서 탈피하여 가공, 유통·판매와 관광 등을 융복합한 6차산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발전시켜야 한다"며 "6차산업 발전을 위해 행정·재정적으로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