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윤은숙 기자 =한국 경제의 뇌관 중 하나로 꼽히고 있는 가계 부채가 여전히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제결제은행(BIS) 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87.2%로, 17개 조사 대상 신흥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한국 다음으로 가계부채 문제가 심각한 신흥국은 태국(70.8%), 말레이시아(70.4%), 홍콩(67.0%), 싱가포르(60.8%) 등이었다. 한편 중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의 비율은 38.8%로 우리나라의 절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지난 2000년 이후 가계부채의 비율이 급격하게 상승했다. 한국의 가계부채 비율은 1962년 4분기까지만 하더라도 1.9%에 불과했지만, 2000년 50%대, 2002년 60%대로 진입했다. 특히 2002년 2분기 기준 가계부채 비율이 62.5%를 기록하며 당시 신흥국 가운데 가계부채 문제가 최악이던 홍콩(61.4%)을 앞질렀다.
이후 한국은 13년 넘도록 줄곧 다른 신흥국들보다 압도적으로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높은 국가로 꼽히고 있다. 일본 역시 가계부채가 상대적으로 심각했다. 그러나 일본의 가계부채 비율은 2000년 1분기 74.4%까지 기록하는 등 높은 수준을 보이다가 급격히 감소했다. 한국은 2006년 2분기에 67.5%의 가계부채 비율을 보이면서 일본과 같은 선상에 올라섰으며, 같은 해 3분기 일본을 앞지르면서 한·중·일 아시아 국가 중 가계부채 비율이 가장 높아졌다.
BIS가 조사한 선진국 24개국과 합쳐 비교하면 한국은 41개국 가운데 8번째로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부채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들은 바로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한 유럽 국가이다. 지난해 3분기 기준으로 스위스는 가계부채 비율이 124.2%로 1위를 차지했으며, 호주(123.1%), 덴마크(122.9%), 네덜란드(111.4%), 캐나다(96.0%), 노르웨이(93.0%), 뉴질랜드(91.3%) 등이 뒤를 이었다. 영국의 가계부채 비율은 86.4%로, 한국보다 낮았다.
BIS도 보고서를 통해 "최근 몇 년간의 저금리 여건은 고위험 대출자에게도 대출 여건을 완화했다"며 "2014년 중반 이후로 시장 불안이 퍼질 때면 고위험 대출이 유례없는 압력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