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3/16/20160316085747164750.jpg)
[그래픽제공 = 통계청]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청년실업률이 12%대를 넘어서 역대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았다. 전체 실업률역시 4.9%로 6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취업자 수 증가 폭은 10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청년(15~29세) 실업률은 12.5%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포인트 올랐다.
이는 1999년 6월 실업자 기준을 구직 기간 1주일에서 4주일로 바꾼 이후 사상 최고치다.
통상 2월은 대학 졸업철이어서 다른 달보다 청년 실업률이 훨씬 높다. 그러나 2월만 놓고 따져보더라도 실업률이 크게 올라갔음을 알 수 있다.
지난해 2월 청년 실업률은 11.1%였고 2014년 2월 청년 실업률은 10.9%였다. 2011년과 2010년 역시 각각 8.5%, 10%였다.
심원보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1월 말에 국가공무원 9급 공채 원서 접수가 있었는데 접수인원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라며 "선발인원이 늘어나면서 접수인원이 3만 명 이상 증가, 청년 실업률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2월 전체 취업자 수는 2541만5000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22만3000명 증가하는데 그쳤다.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지난해 4월(21만6000명) 이후 10개월 만에 가장 적었다.
취업자 수 증가 규모는 지난해 12월 49만5000 늘며 16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을 기록했지만, 올해 1월 33만9000명대로 떨어졌다가 지난달엔 20만명대로 더 낮아졌다.
경제활동인구는 작년보다 33만7000명 늘어났고, 고용률은 58.7%로 0.1%포인트 하락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5.0%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상승했다.
전체 실업률은 4.9%로 1년 전보다 0.3%포인트 상승했다. 2010년 2월(4.9%) 이후 6년 만에 최고치다.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다른 직장을 구하는 취업준비자와 입사시험 준비생 등 사실상 실업자를 고려한 체감실업률은 12.5%였다.
심원보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동절기에는 취업자 규모가 작고 민간 채용이나 공무원 원서 접수, 노인일자리 사업 등 채용시즌이 겹쳐 실업자가 증가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대개 조사대상주간이 설 직전에 위치하면 취업자 수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설 직후에 위치하면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라며 "조사대상주간이 설 명절 이후로 잡힌 영향도 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