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혜란 기자 = 선거 때마다 연대 전략으로 여권의 폭주를 견제해왔던 야권이 분열 난맥상을 보이고 있다. 일여다야(一與多野) 구도로 새누리당이 '어부지리' 압승을 거둘 가능성이 거론되지만, 야 3당 각각의 정치적 이해관계가 충돌하면서 20대 총선을 코앞에 둔 18일까지 야권 연대 논의는 진전이 없다.
◆ 더민주-국민의당 연대 '시계제로'
김종인 더민주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의 '야권 통합' 제안으로 불붙었던 더민주와 국민의당 간 야권 통합·연대 논의의 불씨는 사그라진 분위기다.
국민의당 내에서 야권 연대를 외쳤던 천정배 공동대표가 안철수 상임공동대표의 독자노선에 손을 들어준 데다 김한길 의원 역시 '야권 연대 좌초'의 책임을 지고 총선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20대 총선 전 야권 연대는 무산됐다는 관측이 많다.
양당 두 대표가 제각각 이유로 선거 연대에 반대하고 있어 총선 전 연대가 성사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안 대표는 '김종인발(發) 통합론'이 불거진 이후 지금까지 야권 통합·연대 불가 원칙을 고수해왔다. 양당 구조 타파를 내걸고 제3당을 창당한 안 대표가 스스로 청산 대상 중 하나로 지목했던 더민주와 손을 잡는다면 창당 명분을 잃어버리는 동시에 국민의당 지지층의 기대를 저버리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안 대표가 기존의 입장을 뒤집기는 어렵다는 평가가 많다.
김종인 더민주 비상대책위원회 대표 역시 국민의당을 향해 야권 통합을 공식 제안한 이후부터 일관되게 선거 연대에는 선을 그었다. "선거구 나눠 먹기밖에 더 되느냐"는 게 야권 연대를 바라보는 김 대표의 인식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아주경제와의 통화에서 "김 대표 입장에선 국민의당을 흡수 합병하는 통합이 아닌, 연대를 하면 상당 지분을 나눠줘야 하는데 지분 나눠먹기 안 하겠단 것"이라고 했고, "안 대표 쪽에선 야권과 연대하면 '청산' 대상인 더민주를 우회적으로 지원하는 게 되므로 (연대를 안 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김 대표와 안 대표 모두 지역구별 후보 단일화에는 여지를 두고 있다.
◆ 더민주-정의당 '오락가락'?
더민주와 정의당은 야권 연대의 문을 완전히 닫지는 않은 채로 수 싸움을 이어가고 있다.
문재인 전 대표 시절에는 더민주와 정의당 간 연대는 기정사실화된 분위기였다. 문 전 대표와 연대 논의가 오갈 땐 더민주 측에서 최대 20개 지역구에서 연대를 제안했으나 '김종인 체제'가 들어선 이후 야권연대에 소극적으로 바뀌었다는 평이 나온다.
김 대표가 중도 색깔 내기에 중점을 두면서 정의당과의 연대가 어려워졌다는 것이다. 정의당과 연대할 경우 외연 확장 작업에 지장을 줄 수 있다는 판단이 작용했을 거란 얘기다. 또 김 대표는 지난 16일 "3당이 출연한다고 해도 표가 1번 아니면 2번으로 집중되지 않겠느냐는 확신이 있다"이라고 말했었다. 야권 지지자들이 제1야당에 표를 몰아주는 선택을 할 것이라는 기대가 읽힌다.
김 대표가 "정의당과는 정체성이 달라 연대가 불가능하다"고 못 박았으면서 연대가 물 건너 간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정장선 더민주 총선기획단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김 대표가 정의당과의 정책연대는 하지 않겠다고 했지만 연대를 하지 않겠다는 것과는 다른 문제"라며 "정의당과 계속 만나며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더민주는 정의당 심상정 대표의 지역구인 경기 고양갑과 정진후 원내대표의 안양을 공천을 보류하고 있다. 이곳에서 후보 단일화가 이뤄지면 '사실상 연대'의 물꼬가 트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다만, 이처럼 서로 다른 이유로 당대당 연대를 거부하고 있는 김 대표와 안 대표로선 원칙과 명분을 지키는 것이 각자의 리더십을 돋보이게 하는 데 유리하다는 평가도 있다.
박 평론가는 "김 대표는 107석을 목표로 하고 설사 의석을 조금 잃더라도 원칙을 흔드는 일을 하지 않겠다는 것"이라며 "안 대표도 우리도 의석수가 급하지만 3지대 정당으로서 기존 기성 정당의 벽을 깨고 정치를 복원시키겠다고 한다면 굳이 선거 연대에 매몰되지 않고 선거에 나서는 것이 양당 입장에서 성공할 수도 있고 설사 실패하더라도 명분이 있다"고 평가했다.
◆ 더민주-국민의당 연대 '시계제로'
김종인 더민주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의 '야권 통합' 제안으로 불붙었던 더민주와 국민의당 간 야권 통합·연대 논의의 불씨는 사그라진 분위기다.
국민의당 내에서 야권 연대를 외쳤던 천정배 공동대표가 안철수 상임공동대표의 독자노선에 손을 들어준 데다 김한길 의원 역시 '야권 연대 좌초'의 책임을 지고 총선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20대 총선 전 야권 연대는 무산됐다는 관측이 많다.
안 대표는 '김종인발(發) 통합론'이 불거진 이후 지금까지 야권 통합·연대 불가 원칙을 고수해왔다. 양당 구조 타파를 내걸고 제3당을 창당한 안 대표가 스스로 청산 대상 중 하나로 지목했던 더민주와 손을 잡는다면 창당 명분을 잃어버리는 동시에 국민의당 지지층의 기대를 저버리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안 대표가 기존의 입장을 뒤집기는 어렵다는 평가가 많다.
김종인 더민주 비상대책위원회 대표 역시 국민의당을 향해 야권 통합을 공식 제안한 이후부터 일관되게 선거 연대에는 선을 그었다. "선거구 나눠 먹기밖에 더 되느냐"는 게 야권 연대를 바라보는 김 대표의 인식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아주경제와의 통화에서 "김 대표 입장에선 국민의당을 흡수 합병하는 통합이 아닌, 연대를 하면 상당 지분을 나눠줘야 하는데 지분 나눠먹기 안 하겠단 것"이라고 했고, "안 대표 쪽에선 야권과 연대하면 '청산' 대상인 더민주를 우회적으로 지원하는 게 되므로 (연대를 안 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김 대표와 안 대표 모두 지역구별 후보 단일화에는 여지를 두고 있다.
◆ 더민주-정의당 '오락가락'?
더민주와 정의당은 야권 연대의 문을 완전히 닫지는 않은 채로 수 싸움을 이어가고 있다.
문재인 전 대표 시절에는 더민주와 정의당 간 연대는 기정사실화된 분위기였다. 문 전 대표와 연대 논의가 오갈 땐 더민주 측에서 최대 20개 지역구에서 연대를 제안했으나 '김종인 체제'가 들어선 이후 야권연대에 소극적으로 바뀌었다는 평이 나온다.
김 대표가 중도 색깔 내기에 중점을 두면서 정의당과의 연대가 어려워졌다는 것이다. 정의당과 연대할 경우 외연 확장 작업에 지장을 줄 수 있다는 판단이 작용했을 거란 얘기다. 또 김 대표는 지난 16일 "3당이 출연한다고 해도 표가 1번 아니면 2번으로 집중되지 않겠느냐는 확신이 있다"이라고 말했었다. 야권 지지자들이 제1야당에 표를 몰아주는 선택을 할 것이라는 기대가 읽힌다.
김 대표가 "정의당과는 정체성이 달라 연대가 불가능하다"고 못 박았으면서 연대가 물 건너 간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정장선 더민주 총선기획단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김 대표가 정의당과의 정책연대는 하지 않겠다고 했지만 연대를 하지 않겠다는 것과는 다른 문제"라며 "정의당과 계속 만나며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더민주는 정의당 심상정 대표의 지역구인 경기 고양갑과 정진후 원내대표의 안양을 공천을 보류하고 있다. 이곳에서 후보 단일화가 이뤄지면 '사실상 연대'의 물꼬가 트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다만, 이처럼 서로 다른 이유로 당대당 연대를 거부하고 있는 김 대표와 안 대표로선 원칙과 명분을 지키는 것이 각자의 리더십을 돋보이게 하는 데 유리하다는 평가도 있다.
박 평론가는 "김 대표는 107석을 목표로 하고 설사 의석을 조금 잃더라도 원칙을 흔드는 일을 하지 않겠다는 것"이라며 "안 대표도 우리도 의석수가 급하지만 3지대 정당으로서 기존 기성 정당의 벽을 깨고 정치를 복원시키겠다고 한다면 굳이 선거 연대에 매몰되지 않고 선거에 나서는 것이 양당 입장에서 성공할 수도 있고 설사 실패하더라도 명분이 있다"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