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호주와 미국 등 산유국들이 지난해 한국 석유제품 수입을 확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존 우리나라 석유제품 수출 비중 '빅3'인 싱가포르와 중국, 일본으로의 수출은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20일 한국석유공사 및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수출의 버팀목이 된 석유제품의 최대 수출 대상국은 싱가포르로 7681만 배럴 규모의 한국산 제품을 수입했다.
이는 국내 석유제품 전체 수출의 16.1% 규모다. 중국이 7234만 배럴(15.2%), 호주가 5817만 배럴(12.2%) 등으로 ‘빅3’를 형성했다.
싱가포르가 한국 석유제품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21.5%에서 지난해 16.1%로, 중국은 15.3%에서 15.2%로 각각 하락했다.
반면 호주의 비중은 2011년 3%에 불과했으나, 2014년 8.5%까지 높아져 ‘빅3’를 위협했고 지난해에는 12%가 넘으면서 한국의 단골 수출처인 일본마저 물량 면에서 앞섰다.
호주는 산유국이지만 엄격한 환경 규제 등으로 정제시설이 부족해 원유를 수출하는 대신 석유제품을 수입하고 있다.
일본은 지난해 우리나라로부터 5721만 배럴(12%), 미국은 3763만 배럴(7.9%)의 석유제품을 각각 수입했다.
일본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13.3%에서 지난해 12%로 낮아진 반면 미국은 5.6%에서 7.9%로 큰 폭 상승했다.
미국 역시 산유국이지만 하와이와 괌 등 태평양 지역에 위치한 섬의 경우 미국 서부 보다는 한국으로부터 휘발유와 경유 등 각종 석유제품을 사서 쓰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지난해 3000만 배럴(6.3%), 말레이시아는 2419만 배럴(5.1%)의 한국산 석유제품을 각각 수입했다.
하지만 정유업계는 대표적인 수출품목인 석유제품이 올해는 경쟁국 설비 증설 등으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중국과 인도에서만 올해 각각 일일 34만 배럴과 44만 배럴 규모의 정제시설이 새로 가동에 들어가면서 수출 경쟁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반면 기존 우리나라 석유제품 수출 비중 '빅3'인 싱가포르와 중국, 일본으로의 수출은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20일 한국석유공사 및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수출의 버팀목이 된 석유제품의 최대 수출 대상국은 싱가포르로 7681만 배럴 규모의 한국산 제품을 수입했다.
이는 국내 석유제품 전체 수출의 16.1% 규모다. 중국이 7234만 배럴(15.2%), 호주가 5817만 배럴(12.2%) 등으로 ‘빅3’를 형성했다.
반면 호주의 비중은 2011년 3%에 불과했으나, 2014년 8.5%까지 높아져 ‘빅3’를 위협했고 지난해에는 12%가 넘으면서 한국의 단골 수출처인 일본마저 물량 면에서 앞섰다.
호주는 산유국이지만 엄격한 환경 규제 등으로 정제시설이 부족해 원유를 수출하는 대신 석유제품을 수입하고 있다.
일본은 지난해 우리나라로부터 5721만 배럴(12%), 미국은 3763만 배럴(7.9%)의 석유제품을 각각 수입했다.
일본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13.3%에서 지난해 12%로 낮아진 반면 미국은 5.6%에서 7.9%로 큰 폭 상승했다.
미국 역시 산유국이지만 하와이와 괌 등 태평양 지역에 위치한 섬의 경우 미국 서부 보다는 한국으로부터 휘발유와 경유 등 각종 석유제품을 사서 쓰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지난해 3000만 배럴(6.3%), 말레이시아는 2419만 배럴(5.1%)의 한국산 석유제품을 각각 수입했다.
하지만 정유업계는 대표적인 수출품목인 석유제품이 올해는 경쟁국 설비 증설 등으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중국과 인도에서만 올해 각각 일일 34만 배럴과 44만 배럴 규모의 정제시설이 새로 가동에 들어가면서 수출 경쟁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