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여신금융협회 여신금융연구소가 발표한 '2015년 해외카드이용실적 분석'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비거주자가 국내에서 사용한 카드 금액은 100억5000만 달러로 전년(115억7000만 달러)보다 13.2% 감소했다. 이는 2001년 관련 통계작성 이후 가장 높은 감소율이다. 특히 중국 관광객이 주로 사용하는 유니온페이의 이용 금액이 7.9% 줄었다. 2014년만 해도 유니온페이의 증가율은 108.7%였다.
여신금융연구소는 "메르스 사태로 국내 입국자 수가 전년 대비 6.8% 감소하면서 국내 카드 이용금액도 줄었다"고 설명했다.
국내 거주자의 해외 카드 이용금액은 132억6000만 달러로 전년(122억 달러) 대비 8.7% 늘었지만, 증가율은 2009년 이후 가장 낮았다.
연구소는 "출국자 수는 20.1% 증가했지만 원·달러 환율이 7.4% 오르면서 총 해외 카드이용 증가율은 둔화했다"고 설명했다.
원·달러 환율 상승의 영향으로 해외 직구(직접구매) 규모는 2006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다. 지난해 해외 직구액은 15억2000만 달러로 2014년(15억4000만 달러)과 비교해 1.5% 감소했다.
카드 유형별로는 신용카드의 이용금액이 94억7000만달러로 전년 대비 8.5% 증가했으며, 체크카드 등 직불형카드의 이용금액은 38억달러로 9.2% 늘었다. 소득공제율 인상 등 체크카드 활성화 정책의 영향으로 직불형카드 이용증가율이 신용카드 이용증가율을 상회한 것으로 분석됐다.
업종별로 지난해 상위 10대 업종의 해외카드 구매금액은 44억1000만달러로 전년 대비 31.0% 증가했다. 전체 해외카드 구매금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1%포인트 증가한 41.6%로 나타났다. 하지만 여행관련 업종의 평균결제금액이 하락했다. 원·달러 환율이 올랐지만 여객운임 하락과 중저가 여행시설의 이용이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