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한준호 기자 = 미래 먹거리 산업인 자율주행차(스마트카) 시장은 벤츠와 아우디, BMW 등 전통적 자동차 업체와 구글, 애플의 글로벌 IT업체들의 선점 경쟁이 치열하다. 아쉽게도 우리나라는 여기에 동승하지 못하고 있다.
국내에선 현대자동차가 지난해 12월, HDA(고속도로 주행지원 시스템)기능을 탑재한 제네시스 EQ900을 출시했지만, 핵심부품의 대부분이 해외 업체에 의존하고 있는 처지다. 우리가 따라잡지 못하면 기술격차가 더 벌어져 추격이 불가능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런 상황을 극복하고 국내 스마트카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등은 이달 25일 관련 정책을 소개하고, 전문가들이 제언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고경모 미래부 창조경제조정관은 이날 서울 성동구 한양대학교 정몽구 미래자동차연구센터에서 열린 '오픈톡 릴레이' 행사에서 "모바일 이후 가장 주목받고 있는 플랫폼 중 하나인 스마트카는 센서와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모든 이슈가 융합해야만 구현할 수 있다"며 "이 자리에서 나온 제언을 잘 살려 부처간 협업을 통해 성과를 이룰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미래부는 르노삼성자동차와 함께 85억원 이상을 투입해 천안과 대구에서 '스마트 카톡'사업을 시행키로 했다. 양방향 대화 서비스 솔루션인 '스마트 카톡'은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연구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이들의 연구물을 실제 차량에 부착해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한 사업이다.
유성완 미래부 융합신산업과장은 "스마트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빅데이터지만, 개인정보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수집된 데이터를 자유롭게 활용하거나 연구개발, 실제상황에 적용할 수 없다"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관계부처와 논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도 올해 스마트카 R&D를 위해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통신보안 기술 등 7개 과제에 총 66억원을 투입한다.
산업부는 스마트카에 필요한 고성능 카메라, 레이더 등 인지·판단·제어 부품 개발을 강화하고, 자동차 융합 얼라이언스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대구의 지능형 자동차 주행시험장을 활용, 중견·중소부품업체 성능시험도 지원한다.
국토부는 2020년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앞두고 내년 7월까지 180억원을 투입해 대전과 세종 간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ITS) 시범서비스를 구축한다. 또 2020년까지 275억원을 투자해 스마트 자율협력주행 도로시스템을 개발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쏟아지는 스마트카 관련 정부정책에 대해 선우명호 미래성장동력 스마트자동차 추진단장은 "무엇보다 미래부, 산업부, 국토부의 협조가 필수"며 "예산과 기술개발 범위를 확정하고,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3개 부처가 합동으로 종합실천계획을 수립해 기술 개발 범위와 내용도 해당 부처 담당자들이 공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