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세 이상 취업자 처음으로 20~30대 취업자 수 넘어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3-31 08:4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지난해 한국 근로자 평균나이 44.4세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50세 이상 취업자가 처음으로 20~30대 취업자 수를 넘어섰다.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가 노동시장을 떠나지 않고 청년 취업난 심화, 기업들의 신규채용 저하 때문이다.

한국 근로자들의 평균 나이는 44.4세까지 높아졌다.

다른 연령대보다 인구가 많은 베이비붐세대(1955∼1963년생)가 노후 준비를 위해 정년 이후에도 노동시장을 떠나지 않은 영향이 크지만 청년 취업난 심화, 기업들의 신규채용 저하도 '근로자 노화'를 가속화시킨 요인으로 분석된다.

31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20∼30대 취업자 수는 936만9000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36.1%를 차지했다.

50대 이상 취업자 수는 965만5000명(37.2%)으로, 20∼30대 취업자보다 28만6000명 많았다.

50대 이상 취업자가 수가 20∼30대를 넘어선 것은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0년 이후 처음이다.

2000년만 해도 20∼30대 취업자(1063만명)는 50대 이상 취업자(486만명)보다 2배 이상 많았다. 전체 취업자의 50.2%가 20∼30대였다.

2011년까지 20∼30대 취업자가 50대 이상보다 100만명 이상 많았으나 그 격차가 2012년 91만명, 2013년 41만명, 2014년 5000명으로 급격히 줄더니 지난해 상황이 역전됐다.

50대 이상 취업자 비중이 빠르게 높아진 것은 고용이 청년층보다는 장년과 고령층 위주로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전체 취업자는 33만7000명 늘었는데, 60세 이상 취업자 증가 폭이 17만2000명으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컸다. 50대 취업자도 14만9000명 늘었다.

같은 기간 20대 취업자는 6만8000명 증가하는데 그쳤고, 30대 취업자는 오히려 3만8000명 줄었다.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무엇보다 가장 큰 인구집단인 베이비붐 세대가 일손을 놓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노후 대비가 불충분한 이들 세대는 정년퇴직을 하고도 다시 자영업자가 되거나 경비원 등 임시·일용 근로자로 재취업해 노동시장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다.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꼭 경제적 이유가 아니더라도 오랜 기간 일터에 남기를 원하는 이들도 늘었다.

반면 청년층 고용은 부진한 상황이다.

경기 전망이 불확실해지자 기업들은 신규 채용 규모를 줄이고 있으며, 그나마도 경력직 위주로 채용하고 있어서다.

근로자의 평균 연령은 점차 높아지는 추세다.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를 바탕으로 연간 근로자 평균 연령을 집계한 결과, 지난해 평균 연령은 44.4세로 1년 새 0.2세 많아졌다.

주위를 둘러보면 일하는 사람 대부분이 40세 이상 중장년층이라는 뜻이다.

1999년 처음으로 40대에 접어든 근로자 평균연령은 2004년 41.1세, 2006년 42.0세, 2010년 43.1세 등 계속해서 높아졌다.

청년 취업 문제가 심각해지자 여야는 20대 총선 주요 의제를 '경제'로 정하고 경제공약 1호로 일제히 청년 일자리 확대를 내걸었다.

새누리당은 기업구조조정과 투자 확대를 통한 고용 창출을, 더불어민주당은 공공부문의 청년 채용 확대를 청년취업난 해소 방안으로 제시했다.

국민의당은 공공부문 청년고용할당제 비율을 5%로 높이고 민간기업에도 적용시키겠다는 공약을 내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