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4/01/20160401174516922082.jpg)
안철수 국민의당 상임 공동대표가 29일 오전 세종로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패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안 대표는 이날 "문제는 경제가 아니라 정치"라며 경제를 이번 총선 슬로건으로 부각시키는 더불어민주당을 에둘러 비판했다. [사진=아주경제 남궁진웅 기자 timeid@]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국민의당은 1일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의 야권연대 지역 후보들이 ‘야권 단일후보’ 명칭을 사용한 데 대해 “불합리하다”며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해석을 요청했다.
이태규 전략홍보본부장은 이날 서울 마포 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야권이라는 용어는 집권하지 않은 정당과 세력 일체를 일컫는 것”이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이 본부장은 2014년 지방선거 당시 문용린 서울시 교육감 후보의 예를 들면서 “특정 단체의 지지를 받은 것만으로 ‘보수 단일후보’라는 명칭을 썼다가 벌금형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앞서 선관위는 더민주가 ‘정의당과 연대 시 야권 단일후보 명칭을 사용할 수 있느냐’는 질의에 대해 “공직선거법 위반은 아니다”라고 회신한 바 있다. 하지만 선관위는 이날 오후 국민의당이 해석 요청을 하자, “문제가 없는지 다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야권 단일후보’ 명칭을 둘러싼 야권의 공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 본부장은 이 자리에서 야권연대에 대한 입장도 피력했다. 그는 “후보 단일화 논의는 생산적이지 않다”고 선을 그으면서도 당과 사전 협의를 거치면 막지 않겠다는 기존 입장을 반복했다.
그러면서 ‘각 지역 후보들이 중앙당의 의견을 따르지 않아도 제재하지 않을 것인가’라고 묻자, “그렇다. 최종적인 판단은 후보가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