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19혁명 56주년[사진 출처: KBS '영상실록' 동영상 캡처]
4·19혁명 56주년에 대해 1960년 3ㆍ15 부정선거가 4·19혁명의 가징 직접적인 계기인 것으로 여겨지고 있지만 3ㆍ15 부정선거는 4·19혁명의 도화선에 불과하다.
4·19혁명 56주년에 대해 4·19혁명의 원인은 이승만 정권이 집권 기간 중 자행한 수 많은 실정과 죄악에 대한 당시 국민들의 누적된 분노가 폭발한 것이다.
4·19혁명 56주년에 대해 이승만 대통령은 친일파를 적극적으로 비호해 친일 청산을 좌절시켜 국민들을 분노하게 했다. 즉 1949년 국회에서 친일파들을 처벌하기 위해 제정한 법을 근거로 출범한 ‘반민족행위 특별조사위원회’를 해체시켰다.
국민방위군 사건 때는 군의 부정으로 1000명 이상이 죽었다. 이승만 정권이 자행한 학살 규모는 전두환 정권이 광주민주화운동을 진압하면서 자행한 학살을 훨씬 능가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