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서현 사장은 20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컨데나스트 인터내셔널 퓨쳐 럭셔리 컨퍼런스 기조 연설자로 나서 이같이 말했다.
'Future Luxury is Limitless'라는 주제로 기조 연설에 나선 이 사장은 미래 패션의 화두로 '무한(Limitless)'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 사장은 그동안 세월이 흘러도 변치 않는(Timeless) 가치가 미래 럭셔리로 인식됐으나 이제 패션시장은 빅데이터, VR, 인공지능 등 첨단 IT기술과 SNS가 융합하면서 새로운 창조적 가치를 지향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럭셔리 산업의 규모가 커지면서 아시아 시장이 과거와 다른 독창적인 디자인 스타일로 글로벌 트렌드의 진원지가 되고 있다고 분석하며 차세대 패션 트렌드를 선도할 도시로 서울만의 매력을 강조했다.
이 사장은 "서울은 화장품을 비롯한 뷰티 산업의 기반이 확고해 전 세계 젊은 소비층이 호감을 두고 있고, 어디서나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수준 높은 IT 인프라가 구축돼 새로운 제품의 성공 가능성을 가늠하는 데 유리한 조건을 갖췄다"고 말했다.
또한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과 지리적으로 가깝고, 다양한 한류문화의 인기에 힘입어 아시아 시장의 유행을 선도하고 있어 서울이 미래 럭셔리 시장의 판도를 가늠할 시금석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사장은 삼성이 K-패션의 디자인 역량과 미래 가능성에 적극 투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삼성은 1995년 한국 최초의 디자인 스쿨인 SADI(Samsung Art & Design Institute)를 설립해 패션과 제품 디자인 분야에서 창의적인 인재를 키우며 IDEA, Red Dot, iF 등 세계 3대 디자인 어워드에서 매년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아울러 패션 디자이너 육성 프로젝트를 통해 국내 브랜드의 유럽 진출에도 성공했다. 이 사장은 2005년 ‘삼성패션디자인펀드(SFDF)’를 설립해 지금까지 19개 팀의 디자이너들에게 총 270만달러를 지원했다.
세계적인 남성복 브랜드로 성장한 '준지'를 만든 정욱준 상무도 삼성으로 영입되기 전 3회 연속 SFDF 수상자였다. 올해 준지는 세계 최대 남성복 전시회인 이탈리아 삐띠 워모(Pitti Uomo)에 국내 첫 특별 게스트로 초청돼 유럽 현지 바이어들에게 호평을 받았다.
이 사장은 “기술 발전으로 럭셔리 산업이 큰 변화를 맞고 있다”며 “기술과 인간의 창의가 조화를 이뤄 미래 럭셔리 산업으로 발전할 때 무한한 가능성이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