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공=국토교통부]
아주경제 노경조 기자 = 오는 8월부터 KTX 일부 역에서 여객의 신체, 의심물체 등에 대한 보안검색이 실시된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벨기에 테러와 북한 등으로부터의 테러 위협이 증가함에 따라 철도보안 실태를 점검하고, 유관기관 및 전문가 의견 등을 거쳐 철도 보안강화 세부 추진대책을 마련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대책은 철도가 민간인을 대상으로 하는 '소프트 타깃' 테러 대상이 돼 대규모 인적·물적 피해를 입지 않도록 예방하는데 중점을 뒀다.
주요 내용을 보면 서울·오송·익산·부산역 등 KTX 일부 역에서 오는 8월부터 12월까지 선별적 보안검색이 시범적으로 이뤄진다. 여객의 신체·휴대물품, 수하물에 대한 보안검색 등이 해당한다.
보안검색은 단계적으로 시행된다. 승객의 동선을 고려해 역에 설치된 영상감시설비로 출입자와 의심물체를 점검하고, 엑스레이(X-ray) 검색대에서 철도경찰이 정밀 검색한다. 열차 내에서도 철도경찰의 상시 점검이 이뤄진다.
국토부 관계자는 "공항수준의 모든 승객과 수하물에 대한 전면적 검색이 효과적이나, 역사건물의 구조적 한계와 검색시간 소요 등 국민 불편이 예상돼 의심물체, 거동수상자 위주의 선별적 검색을 시행한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이후 종합적 성과평가, 전문가 의견 등을 거쳐 미비점을 보완한다는 계획이다.
한강철교 등 국가중요시설에는 안개, 심야시간 등 악천후에도 외부 침입을 감지할 수 있는 열화상감시설비가 추가로 설치된다. 철도경찰의 지도감독 및 특수경비원의 출입보안 통제도 강화된다.
역무원이 없는 무배치 간이역(256개)중 보안이 취약한 역사(120개)에는 고화질 영상감시설비를 설치해 보안사고를 예방한다.
철도차량기지 등에 무단으로 침입해 철도차량을 훼손하는 등의 보안사고를 막기 위해 감시와 철도경찰·특수경비원의 순찰·출입통제도 강화한다.
아울러 철도운영사의 경비인력·역무원 등을 재배치해 보안검색인력으로 활용하고, 환경미화원·매점직원·자원봉사자 등을 테러예방인력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테러·보안은 예방과 선제 대응이 중요하다"며 "관계기관과 협조체계를 구축하고 정례적인 보안점검회의를 여는 방안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