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포럼은 기업체, 대학, 청년, 고용창출기관 관계자등이 참석해 구직자 성향과 연계한 취업매칭 활성화와 매력적인 중소기업 일자리 발굴과 홍보, 기업체험 프로그램 개선 등을 통해 미스매치의 갭을 축소하고 정책 체감도를 높여야 한다는 의견들을 내놨다.
주제발표자인 지민웅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중소기업과 청년층간 고용의 미스매치 완화를 위한 정책제언’에서 "청년층에게 매력적인 일자리를 제공하는 중소기업들이 발굴, 홍보되도록 정책적 지원을 통한 정보 미스매치를 해소해야 한다"며 "임금, 근로복지 개선과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에 기초해 성장을 도모하는 기업이 타겟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하창용 광주고용센터 소장은 ‘미스매치 의미와 현황’이라는 주제로 "광주지역의 미스매치는 일과 학습의 병행제를 추진하는 한편 일자리의 광역 매칭 활성화를 통해 고학력 청년층이 노동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고 강조했다.
이어진 심층토론에서 청년들은 중소기업의 고용 안정성에 대한 확신과 적성이나 희망 직무에 맞는 중소기업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취업정보체계의 개선을 요청했다. 또 "구인기업이 적극적으로 다가와 쌍방간 거리를 좁히려는 노력이 있었으면 한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중소기업체 관계자들은 "대부분의 청년들이 공무원을 희망하고 중소기업 취업은 선호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미스매치 문제에서는 중소기업들이 잘못했다고 매를 맞는 입장"이라며 "1인 다역의 멀티 플레이어가 되어야 하는 중소기업의 현실을 직시하면서 회사를 키우고 기여하겠다는 마음의 준비가 된 인재들은 언제든 환영"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