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역사교과서를 배우는 2018년부터 교사들이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만들어 다양한 쟁점에 대한 토론이 수업에서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교사용 자료 보급을 통해 국정교과서의 획일적인 내용에서 벗어나 쟁점이 있는 내용에 대해 소개하고 학생들에게 비판적인 시각을 길러주겠다는 취지다.
서울교육청은 26일 2016년도 역사교육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역사교육 토론회 개최, 교사용 자료 보급, 교사 연수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서울교육청은 우선 내달 9일, 23일 두 차례의 토론회를 열어 역사교육 관련 의견을 수렴한다.
6월 23일에는 역사교육 전문가 심포지엄을 연다.
역사수업 개선을 위한 자료 개발에도 나서 ‘오늘과 만나는 역사’, ‘질문이 있는 교실, 토론이 있는 역사수업(한국사편)’, ‘동아시아 펴화교과서’를 개발해 보급할 예정이다.
서울교육청은 이들 자료들이 대안교과서가 아닌 교사용 보조 자료라고 밝히고 있다.
서울교육청은 이번 기본계획이 국정교과서 대응 차원이 아니라고 밝히고 있지만 이날 회견에서 국정교과서에 반대한다는 취지는 지속적으로 나왔다.
민주사회를 위한 역사교육위원회 위원장인 주진오 상명대 교수는 “역사교육 기본계획이 국정화 대응차원은 아니다”라며 “아이들이 올바르게 판단하고 책임감 있게 배울 수 있도록 하는 역사교육의 나갈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주 교수는 편향성 우려에 대해서는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반대하는 것은 역사학계와 교사 대다수의 의견으로 편향됐다고 볼 수 없고 민주사회를 위한 역사교육위원회가 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를 위한 위원회가 아니며 이를 뛰어 넘은 차원”이라며 “역사교육이 앞으로 나가야 방향이 무엇인가, 앞으로 청소년들이 미래를 위한 민주시민으로 발전할 수 있는 역사교육은 무엇일까 등을 놓고 토론회 등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들어보려 한다”고 덧붙였다.
주 교수는 “국정화를 반대하는 이유는 다양성을 상실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고 암기 위주로 역사교육이 이뤄지면 다양성을 저해하기 때문”이라며 “국정교과서 반대가 진보, 이념차원이 아니고 역사학자와 교사의 상식 차원으로, 위원회가 지향하려고 하는 것은 특정 결론 도출이라기보다는 다양한 견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에 대해 토론하고 질문할 수 있는 교육이 돼야 한다는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근표 서울교육청 교육정책국장은 “국정역사교과서는 내용 예상을 할 수 없고 누가 쓰는지도 모르는 가운데 미리 예단해 반대할 수도 없다”며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교사학습 자료 만들어 보급할 예정으로 단순 사실 전달보다는 역사가 현재를 비추고 미래를 이끌어내는 학문이라는 점에서는 역사 교육이 제대로 이뤄질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하고 다양한 자료를 만들어 비판력, 사고력을 길러주자는 데 이번 기본계획의 초첨이 있다”고 소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