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따라 해운업계는 회사 정상화를 위해 용선료 인하 등 고강도 구조조정에 나설 방침이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26일 “현대상선이 용선료 인하와 사채권자 채무조정이 없다면 채권단이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은 법정관리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현대상선에 요구중인 정상화 방안은 용선료 인하와 사채권자 채무조정, 협약채권자 조건부 자율협약 등이다. 특히 용선료 인하 협상에서 의미 있는 결과가 나와야 사채권자 채무조정과 자율협약을 진행할 수 있다. 한진해운도 이와 비슷한 정상화방안을 기반으로 조건부 자율협약을 신청한 만큼 현대상선과 같은 길을 걷게 됐다.
지난해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이 지불한 용선료는 각각 2조6202억원과 1조8793억원이다. 한진해운의 경우 지난해 매출액인 7조7355억원의 절반 가까이를 용선료로 지불한 셈이다. 현대상선 역시 지난해 매출액 5조7686억원의 33%가 용선료로 쓰였다.
또 한진해운이 올해 지불이 예상되는 용선료는 9288억원, 2017년부터 2020년까지 2조9980억원, 2021년 이후 1조3839억원 등 총 5조5487억원이다. 그만큼 가격 조정이 필수적인 상황이다.
특히 현대상선은 내달 중순까지 용선료 협상을 마무리 짓지 못할 경우 ‘법정관리’라는 철퇴가 기다리고 있다. 현대상선은 22개 선주들과 두 차례에 걸쳐 협상을 진행했고, 상당수 선주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은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상선 관계자는 “현재 마련한 자구안은 순조롭게 진행 중에 있으며 채권단도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면서 “해외 선사와의 용선료 협상도 순조로워 5월 중순 이전까지 긍정적인 소식을 전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한진해운은 현대상선보다 압박이 덜한 용선료 인하 협상은 자율협약 이후 진행하되 협약 체결을 위해 더욱 강도높은 자구책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다. 특히 자산매각 등 큰 그림을 내놓긴 했지만 운영자금 마련을 위한 추가 자산 매각 작업이 필요한 상태다.
한진해운 관계자는 “용선료 부문은 꾸준히 선주측과 의견을 교환해 온 만큼 협상팀을 별도로 꾸리진 않은 상태”라면서 “자율협약에 돌입하게 된다면 용선료 협상을 위해 본격적으로 해외 선주사들과 조율에 나설 계획”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