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정하 기자 = 29일 한국인 세 번째 지카바이러스 감염자가 나왔지만 감염자 B(21)씨는 증상은 나타나지 않은 '무증상 감염자'인 것으로 알려졌다. 방역 당국이 감염자를 찾는 데 어려움이 예상된다.
방역 당국은 B씨를 감염자로는 분류하되 증상이 발현되지 않은 만큼 환자로는 분류하지 않았다. 질병관리본부의 지카바이러스 진단검사지침 역시 검사에서 감염을 판정받고 동시에 임상 증상까지 나타나는 경우에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의 환자로 분류한다.
여기서 임상 증상은 발진이 관절통·관절염, 근육통, 비화농성 결막염·결막충혈 중 하나 이상이 같이 나타나는 경우다.
B씨의 경우 한국인 2번째 환자인 동생 A(20) 씨와 함께 필리핀 여행을 다녀온 까닭에 검사를 받았다. 혈액, 소변, 타액(침)에 대해 유전자 검사를 진행했고 혈액은 음성이지만 소변과 타액은 양성 판정이 나왔다.
B씨처럼 지카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진단하는 여러 유전자 검사 중 일부는 양성이, 일부는 음성이 나오는 경우가 흔히 나타나고 있다. B씨의 경우 혈액은 감염 상태는 벗어났지만 생식기나 침샘에는 바이러스가 남아있었던 것이다.
지카바이러스는 혈액을 거쳐 장기로 퍼졌다가 생식기관에 가장 늦게까지 남아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바이러스는 혈액보다 소변에서 1주일 이상 더 길게 검출된다.
방역당국도 바이러스가 초반에만 나타나는 혈액 유전자 검사나 정확성이 떨어지는 타액 유전자 검사보다는 소변을 통한 유전자 검사 결과를 감염여부 진단 과정에서 더 신뢰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첫 무증상 감염자가 나온 것이지만, 전 세계적으로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에 걸린 사람 중 80%는 증상이 없는 무증상 감염자다.
통상 바이러스성 질환에서 무증상 감염자는 바이러스 전파력이 약한 것으로 분류되지만, 지카 바이러스와 관련해서 무증상 감염자와 증상이 있는 환자 사이의 전염력의 차이가 명확하게 밝혀지진 않았다.
문제는 B씨 같은 무증상 감염자는 방역망에서 포착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증상이 없으니 병원에 가지 않을 가능성이 크고 검역 과정에서도 걸리지 않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