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경찰에 따르면 최근 이메일 무역사기는 좋은 투자처가 있다는 내용을 이메일로 보내 투자금을 가로채거나, 기업에게 거래대금을 특정 계좌로 입금하라는 메일을 보내는 식이다.
이메일 발신자명을 바꾸거나 유사한 이메일 주소를 만들어 범행에 이용하기도 한다. 특정 기업 최고경영자(CEO) 이름으로 재무담당자에게 이메일을 보내 특정 계좌에 거래대금을 송금하라고 지시하는 경우가 대표 사례 중 하나다.
LG화학이 최근 글로벌 기업을 사칭한 이메일로 사기를 당해 240억원의 막대한 거래대금을 날린 것이 대표적인 예다.
하지만 이 같이 사태가 심각해지지만 범인 검거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외국 메일로 이뤄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국제 수사공조가 필요하지만 공조가 원활하지 않을 때가 있다.
경찰 관계자는 “이메일 무역사기를 막으려면 일단 대금을 송금하기 전 반드시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어 확인하고, 회사 이메일의 로그인 보안을 강화해야 한다”며 “IP CCTV를 쓸 경우 초기 비밀번호를 반드시 변경해야 안전하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