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농림축산식품부·한국농촌경제연구원 등에 따르면, 지난달 하순 기준 배추가격은 1포기에 5314원으로 평년 대비 168% 급등했다. 무는 상품 1개에 1718원으로 평년보다 85%, 마늘은 1kg에 5848원으로 45% 상승했다. 이에 따라 배추와 마늘은 수급조절 매뉴얼상 ‘심각’ 단계에 들어섰다.
여기에는 정부가 매월 발표하는 배추·무 물가지수가 계절적 소비량 변동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해 채소가격 안정에 악영향을 끼치는 점도 한몫했다.
최병옥 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통계청에서 매달 발표하는 배추·무 물가지수는 12개월을 단순 평균해 반영한다"며 "소비자는 김장철인 11~12월에 연중 70%를 구매하기 때문에 동일한 가중치보다, 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는 물가지수 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성우 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올해 월동배추·무의 공급이 줄어 가격이 급등하자, 정부가 수급안정정책으로 배추·무를 방출했지만 정확한 월별 소비량 자료가 없어 정책시행에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배추와 무는 노지채소 특성상 기상에 따른 작황이나 출하량의 변동폭이 큰 편이다. 물량이 조금이라도 부족하거나 많으면 시장에서 민감하게 반응한다.
김 연구위원은 "배추·무 생산은 봄, 여름, 가을, 겨울 작형으로 구분돼 해당 시기마다 주산지가 이동하는 특징이 있다"며 "기상 등 외부요인에 따라 수급이나 가격변화가 빈번해 월별 소비량을 추정, 수급안정대책의 근거 자료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통계청은 월별로 변화되는 부분까지 통계를 구하려면 행정비용이 많이 들어 1년 단위를 적용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우영제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가중치를 산정하는 방법은 변동가중치, 고정가중치 두가지가 있는데, 계절적인 영향 등으로 변동성이 큰 배추나 무의 경우 연단위로 고정가중치를 적용하고 있다"며 "변동이든 고정이든 결과는 매한가지"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