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5/02/20160502153418901461.jpg)
국립중앙도서관은 최근 조선총독부관보활용시스템을 개편하고 본격 서비스에 들어갔다. [사진=국립중앙도서관 제공]
아주경제 박상훈 기자 =국립중앙도서관(관장 임원선)은 링크드 오픈 데이터(LOD, Linked Open Data) 기반의 귀중본 고신문 데이터베이스(DB) 구축 사업과 함께 조선총독부관보활용시스템(gb.nl.go.kr)을 개편, 최근 본격적인 서비스에 들어갔다고 2일 밝혔다.
고신문DB 사업은 지난 2013년부터 국가DB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돼 일반 이용자들이 쉽게 접할 수 없었던 고신문 자료를 인터넷에 공개하고 있다.
올해 4단계 사업은 17억원 규모로 오는 11월까지 1925년의 조선일보, 여성신문, 평화일보 등 16종 54권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이 사업이 완료되면 고신문 144권의 이미지 4만4379면, 기사 84만8240건, 색인어 254만7809건을 구축하게 된다. 특히 구축 데이터의 개방·공유·연계를 위해 기사와 색인어 339만6049건은 LOD로 추가 발행한다.
또한 지난해부터 추진해온 조선총독부관보활용시스템(gb.nl.go.kr)도 개편을 마치고 5월부터 본격적인 서비스에 들어갔다. HTML 5 기반의 웹 표준을 적용한 홈페이지는 기존에 지원하지 않았던 크롬, 사파리 등 다양한 인터넷 브라우저에서도 접속 가능하다다. 이번 개편으로 1916~1927년 관보의 기사, 색인어 데이터 등이 추가 구축돼 1910년부터 1945년까지 발행된 조선총독부관보를 빠짐없이 이용할 수 있게 됐다.
국립중앙도서관 측은 "고신문과 조선총독부관보는 역사·사료적 가치가 높은 1차적 사료로 정치·경제·역사 등 학계에 실증적 연구 토대를 제공할 것"이라며 "대중적인 이슈도 많아 광고, 영화, 드라마 등 관련 분야 비즈니스 창출을 위한 공공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