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사정에 정통한 대북 소식통은 "북한은 36년 만에 개최되는 당 대회를 앞두고 5월 2일부터 평양시와 국경지역에 대한 특별경비주간을 선포했다"고 밝혔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5/03/20160503114158557955.jpg)
[사진=SBS 화면 캡처]
이 소식통은 "작년 10월 당 창건 70주년 행사 때는 장병과 근로자에게 특별상금을 지급하는 동향이 있었으나 올해는 아직 그런 동향이 관찰된 바 없다"고 말했다.
그는 "평양시 군중대회나 공연과 같은 부대행사를 준비하는 것 외에는 특이동향이 식별되지 않고 있다"며 이번 당 대회 때 열병식이나 집단체조와 같은 특별 행사는 없을 것임을 시사했다.
이 소식통은 "현재까지 당 대회 외빈 초청 동향이 구체적으로 파악된 바 없다"며 7차 당 대회가 사실상 '집안 잔치'로 끝날 가능성도 제기했다.
당 대회는 평양 소재 4·25 문화회관에서 6일부터 3~4일간 개최될 전망이다.
대회기간이 사흘이라면 1일 차에는 개회사와 당 중앙위원회 사업총화 보고 및 토론이, 2일 차에는 당 중앙검사위원회 사업총화 보고, 당규약 개정 토의, 결정서 채택이, 3일 차에는 당 중앙위원회 위원 및 후보위원, 당 중앙검사위원회 위원 선거와 폐회사가 각각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군중대회나 부대행사 일정에 따라 대회기간은 조정될 여지가 있다. 닷새간 진행된 6차 당 대회 때는 100만명이 참여하는 군중시위와 5만명이 참여하는 집단체조 행사가 열린 날에는 당 대회 공식 일정이 없었다.
통일부 당국자는 7차 당 대회 관련 북한 관영매체의 보도방식에 대해 "2012년 4월 개최된 4차 당 대표자회와 같이 (개최 첫날인) 5월 6일 당일에 간략하게 보도한 이후 다음날 녹화실황 방송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것으로 예상되나, 실시간으로 중계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당 대회에 앞서 사업분야의 성과를 독려하기 위한 속도전인 '70일 전투'에 대해서는 "당 대회를 앞두고 70일 전투 목표를 초과달성했다는 (북한 관영매체의) 보도가 많지만, 실제 생산과 일치한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평가했다.
그는 "경제부문에서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투자나 충분한 자금이 동원돼야 하지만 북한은 단순 노력동원에 의존하고 있어 한계가 있다"며 "오히려 각종 노력동원으로 시장활동에 지장을 받고 있어 주민들의 불만이 가중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 당국자는 북한이 지난해 12월 '재정은행일꾼대회'를 개최한 의도에 대해서는 "당 대회를 앞두고 재정 원천을 확보하고 금융에 대한 중앙통제 기능을 강화하는데 주안점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그러나 당 대회에 필요한 자금이 부족해 주민에게 각종 명목의 상납금을 강요하고 있어 주민 생활고가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