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웅섭 금감원장 "은행업 새롭게 등장하는 리스크에 적극 대응해야" 당부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이 3일 오전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은행 리스크 관리 선진화 워크숍에 참석해 은행업이 전통적인 리스크 관리방식을 혁신해 새롭게 출현할 리스크게 적극 대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사진제공=금융감독원]



아주경제 윤주혜 기자 =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은 전통 은행산업이 새로운 기술의 등장으로 생존에 위협을 받는 우버 모멘트에 직면했다고 경고했다.

진 원장은 3일 오전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은행 리스크관리 선진화 워크숍에 참석해 "디지털 신기술이 금융과 실물경제 간의 경계를 허물고, 기존 은행산업의 금융중개기능까지 송두리째 변화시키고 있다"며 이처럼 말했다.

진 원장은 격려사에서 "향후 10년 내 금융시장의 리스크 패러다임은 '디지털 리스크'로 전환한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라며 "또한 국내 은행의 해외진출로 은행이 관리해야 할 리스크의 범위도 크게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은행에서는 현행 리스크 관리체계나 모형, 지배구조뿐만 아니라 조직문화까지 전면적으로 재점검해야 한다”고 주문하며 전통적인 리스크 관리방식을 혁신해 새롭게 출현하는 리스크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전자금융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양의 바이오 정보, 영상기록 등 신종 금융정보에 대한 내부통제가 부실해 오남용되거나 유출될 경우 막대한 운영리스크와 평판리스크에 직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감동당국도 비대면 금융거래 시 생체인증 방식의 거래동향 등 디지털 리스크를 파악할 수 있는 상시감시지표를 개발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또 은행에 스트레스 테스트 모형을 보다 정교화하고 테스트 결과는 은행의 리스크관리 및 자본계획 수립에 적극 활용해 줄 것을 당부했다.

진 원장은 이어 "최근 부동산 임대업 등 소호대출이 급증하는 등 쏠림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며 “과도한 쏠림 현상에 따른 경영리스크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히 유념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날 워크숍에서 금감원은 최근 글로벌 은행규제 동향과 리스크 선진화를 위한 감독방향을 주제로 은행 관계자들에게 설명했다.

신한은행이 '빅데이터를 활용한 리스크 시스템 선진화'를, 하나금융지주가 '전사적 통합 리스크 관리체계'를 주제로 모범사례를 발표했고, 서강대 이군희 교수가 '은행 핀테크 활성화와 리스크 관리 혁신방안'을 주제로 강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