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는 지난 1월부터 제3의 독립기구인 산업보건지원보상위원회를 발족해 직업병 의심사례를 접수한 결과 지난달 말까지 89건이 접수됐다고 4일 밝혔다.
접수된 사례는 갑상선암이 41건으로 가장 많았고 자연유산 12건, 유방암 8건 순이다. 위암, 비호지킨림프종, 백혈병 등도 일부 접수됐다.
이번 지원보상은 SK하이닉스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차원에서 의심 사례로 나타난 질환자를 대상으로 지원보상에 나서겠다고 약속한 데 따른 것이다.
SK하이닉스는 지난 2014년 반도체 사업장에서 직업병 이슈가 발생한 이후 외부전문가와 노사대표로 구성한 산업보건검증위원회를 발족하고 사업장을 대상으로 1년간 산업보건 역학조사를 벌였다.
산업보건검증위는 지난해 11월 역학조사 결과 발표에서 "반도체 사업장과 직업병 간 인과관계를 밝히기 어렵다"면서 "인과관계를 유보한 채 회사 측에 질환자에 대한 지원 보상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이에 SK하이닉스는 제안을 모두 수용했다.
SK하이닉스는 검증위가 제안한 127개 개선 과제를 계획대로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과제는 작업환경, 건강영향관리, 산업안전보건, 복지제도 등으로 구성돼 있다.
4월 말까지 31개 개선과제를 달성해 24%의 진척률을 보였고 내년까지 100%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SK하이닉스는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