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2015 한국의 성(性) 인지 통계'에 따르면 '부모 부양에 대한 견해'를 묻는 조사에서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응답은 2002년 9.6%(15세 이상 인구 기준)에서 2014년 16.6%(13세 이상 인구)로 1.7배 수준으로 증가했다.
'가족과 정부사회가 함께 부양해야 한다'는 18.2%에서 47.3%로, '정부사회가 부양해야 한다'는 1.3%에서 4.4%로 늘었다. 반면, '가족이 부양해야 한다'는 답변은 70.7%에서 31.7%로 반 토막이 났다.
가족내 부양책임 소재에 대한 생각도 변화했다. '장남 또는 며느리'라는 응답은 15.1%에서 6.2%로 급감한 반면에 '모든 자녀'라는 답변은 19.5%에서 75.4%로 크게 늘었다.
인식이 변화함에 따라 실제로 부모 생활비를 부담하는 주체도 바뀌었다.
'아들 또는 며느리'는 12.1%에서 9.1%, '딸 또는 사위'는 2.1%에서 2.6%, '모든 자녀'는 24.8%에서 27.7%로 변화했다.
60세 이상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본인 및 배우자가 생활비를 부담한다'는 응답은 2002년 55.9%에서 2015년 66.6%로 늘었다. '정부 및 사회단체에서 지원한다'는 답변도 3.8%에서 10.4%로 증가했다.
하지만, '자녀 또는 친척이 지원한다'는 40.1%에서 23.0%로 크게 줄었다. 자녀에 대한 의존도가 줄어든 만큼 미리 노후를 준비하는 사람은 많아졌다.
'노후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힌 응답자의 비율은 2002년 64.5%(18세 이상 가구주 기준)에서 2015년 72.6%(19세 이상 가구주)로 늘었다.
가장 흔한 준비방법은 '국민연금'(71.7%·복수응답)이었고, '예금·적금·저축성 보험'(42.0%), '사적연금'(21.9%) 등이 뒤를 이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