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5/08/20160508223403603026.jpg)
8일 산업통상자원부는 4월 국내 자동차 내수가 개별소비세 인하 연장 효과 등으로 3%대 증가율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사진=아이클릭아트]
아주경제 송종호 기자 = 4월 국내 자동차 내수가 개별소비세 인하 연장 효과 등으로 3%대 증가율을 기록했다.
반면 자동차 수출은 신흥국 경기 침체 등의 여파로 19.0% 줄었다.
8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4월 자동차 산업 동향에 따르면 판매물량(국산·수입 합계)은 15만8427대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3.7% 늘어났다.
이는 개별소비세 인하가 올해 6월까지 연장돼 업계가 추가 가격 인하를 시행한 결과로 분석된다.
또 SM6, 티볼리 에어, K7 등 신차 효과와 쏘렌토, 스포티지 등 다목적차량(SUV)의 인기가 내수 증가세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자동차 내수는 지난 1월 –6.8%를 기록한 뒤로 2월 5.2%로 증가세로 돌아선 이후 석달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다.
지난달 국산차 판매는 13만8164대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4.7% 늘었다. 4월 국산차 판매 점유율은 지난 2014년 12월 88.1% 이후 16개월 만에 월 최대치인 87.2%로 집계됐다.
반면 수입차 판매는 2만263대에 그쳤다. 이는 전년 같은 달 대비 2.7% 줄어든 것으로 프로모션 축소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4월 자동차 수출 물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0% 감소한 22만8502대를 기록했다. 금액으로는 35억5000달러로 전년 같은 달보다 18.3% 감소했다.
자동차 수출 감소율은 3개월만에 두자릿수를 기록했다. 감소율은 지난 1월 -22.2%, 2월 -9.4%, 3월 -4.6%로 줄어드는 추세를 기록했었다.
산업부는 지난 1월부터 자유무역협정(FTA)으로 무관세 적용되거나 관세가 낮아진 미국, 유럽연합(EU) 등으로의 수출이 증가했지만 중동과 중남미 등 신흥국 경기침체에 따른 수출 부진 영향이 더 컸다고 설명했다.
4·13 총선과 현대·기아차의 식목일 휴무로 조업일수가 줄어든 점도 수출 부진으로 나타났다.
자동차부품 수출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5.4% 감소한 20억2000만 달러에 그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