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부가가치세·소득세 등 서민생활과 밀접한 세금의 경우, 작년보다 8조원 이상 늘어 경기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월급쟁이를 비롯한 서민 생활고는 가중되는 모습이다.
기획재정부가 10일 발표한 '5월 재정동향'에 따르면 1∼3월 국세수입은 64조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50조2000억원보다 13조8000억원 늘었다.
이에 따라 정부가 한해 동안 걷기로 한 목표 금액 가운데 실제 걷은 세금 비율인 세수진도율 역시 5.4%포인트 높아진 28.7%를 기록했다. 정부는 올 한해 222조9000억원의 세금이 걷힐 것으로 보고 있다.
세목별로 보면 부가가치세와 소득세가 세수진도율 상승을 견인했다. 정부의 부가세 수입은 1∼3월 14조8000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4조5000억원 증가했다. 소득세 역시 16조6000억원으로 3조6000억원 더 들어왔다.
서민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이 두 세목의 더 걷힌 세금만 8조원이 넘는다. 문제는 걷힌 세금이 늘어났다는 것이 아니라 우리 경제 회복세가 암울하다는 부분이다.
수출이 살아나고 내수가 회복되는 등 한국 경제가 뚜렷한 개선세를 보인다면 그에 대한 선순환 효과로 소득과 소비가 늘어 세금도 늘어나는게 당연하다. 하지만 현재 한국경제 상황은 선순환을 기대할만큼 개선세는 커녕 앞으로를 걱정해야 할 정도로 상황이 좋지 않다.
정부 역시 민간소비 등 내수가 개선되고 있지만 아직 민간부문 회복 모멘텀이 약하며 수출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평가한다. 여기에 세계경제 회복 지연 등 대외리스크도 여전하다고 진단했다. 특히,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 글로벌 경기둔화는 직격탄이 될 수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이날 발표한 '글로벌 투자 부진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전 세계적으로 투자가 부진해지면서 한국 경제 성장률이 연평균 0.21%포인트씩 하락한 것으로 분석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국세 등 세입여건은 개선세가 지속하고 있으나 중국·미국 성장세 둔화 등 대외 불확실성이 상존하므로 경기 동향과 세입 여건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