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11일 발표한 '4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4월 취업자 수는 2615만3000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25만2000명 증가하는데 그쳤다.
월간 취업자 수 증가 규모는 올해 1월 33만9000명을 기록한 이후 2월에는 22만3000명으로 두 달 연속 줄었다가 3월엔 다시 30만 명으로 늘었지만 지난달 다시 20만 명대로 추락했다.
지난달 청년실업률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7%포인트 오른 10.9%로 집계됐다. 이는 실업자 기준을 구직 기간 1주일에서 4주일로 바꿔 통계를 작성한 1996년 6월 이후 4월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치다.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41.8%로 작년 같은 달보다 0.7%포인트 올랐다.
심원보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청년실업률과 고용률이 모두 함께 높아지는 추세"라면서 "오는 6월 서울지역과 지방직 공무원 시험이 있어서 청년실업률이 또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전체 실업률은 1년 전과 같은 3.9%였다.
그간 취업자 수는 제조업 위주로 증가해왔지만 4월 들어 한계기업 구조조정이 본격화하면서 둔화됐다.
경기가 좋지 않고 수출 감소세가 이어지는데도 제조업 고용은 23개월 연속 10만명 이상 증가하는 호조를 보였다.
그러나 4월 제조업 취업자 증가 폭은 4만8000명으로 2013년 11월 이후 2년 5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올해 3월 전체 취업자 증가 폭인 30만 명 가운데 제조업 비중은 41.3%에 달했지만 4월 비중은 18.7%로 뚝 떨어졌다.
하반기 들어 조선업 일감 축소가 시작되면 고용시장에 한파가 닥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4월에는 숙박 및 음식점업(12만1000명) 취업자 증가 폭이 가장 컸고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8만5000명), 전문·과학기술 및 서비스업(8만3000명)이 뒤를 이었다.
도매 및 소매업(-8만1000명), 농림어업(-6만명), 예술·스포츠·여가관련서비스업(-5만7000명) 취업자는 감소했다.
4월 경제활동인구는 작년보다 27만4천 명 늘었고, 고용률은 60.3%로 같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은 15∼64세 고용률은 65.7%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상승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612만 명으로 1년 전보다 14만9000명 증가했다.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다른 직장을 구하는 취업준비자와 입사시험 준비생 등 사실상 실업자를 고려한 체감실업률(고용보조지표3)은 11.1%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