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5/12/20160512172708743874.jpg)
[네이버 카카오]
아주경제 이정하 기자 = 네이버와 카카오가 1분기 실적에서 희비가 엇갈렸다.
네이버는 모바일 메신저 라인을 중심으로 한 해외 매출과 모바일광고 증가에 힘입어 큰 폭의 실적 개선을 보였지만, 카카오는 광고와 게임 매출 부진과 신규 O2O(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연계) 서비스 투자 확대로 영업이익이 반토막 났다.
1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보면 카카오는 1분기 영업이익이 21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7.7% 감소했다.
그간 캐시카우 역할을 해준 광고가 계절적으로 비수기를 맞았고, 인기 모바일게임 순위권에서도 카카오게임이 점진적으로 줄었다.
카카오드라이버와 카카오헤어샵 등 다양한 신규 사업에 공격적으로 투자하면서 영업비용(2214억원)도 늘었다. 카카오택시 등 이미 출시된 O2O 사업은 아직 수익을 내지 못하는 상황이다.
전체 매출도 작년 동기보다 3.5% 늘어난 2425억원에 그쳤다.
매출 가운데 모바일 비중이 역대 최대인 63%를 기록하며 성장성을 보여줬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와 달리 네이버는 1분기에 광고 비수기를 극복하고 모바일과 해외에서 매출을 늘리면서 영업이익이 크게 늘었다.
네이버는 1분기 영업이익이 2568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32.1% 늘었고, 매출액도 9373억원으로 26.6% 증가했다.
네이버의 모바일광고 비중은 1년 만에 15%포인트 급증해 50%가 됐고, 라인을 포함한 모바일광고의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이 2015년 2분기부터 2016년 1분기까지 각각 61.9%, 74.9%, 79.6%, 81.4%를 기록하며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이 외에도 네이버페이, 네이버 쇼핑, 웹툰·웹소설·동영상·TV 캐스터, 게임 등을 아우르는 '콘텐츠' 사업에서도 매출이 23.1% 증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