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배군득 기자 = 옥시 가습기 살균제에서 유해성 물질이 검출되자, 정부가 뒤늦게 단속을 강화하며 진화에 나섰다. 이른바 생활화학제품 전발에 걸쳐 살생물질을 재검토하겠다는 것이다.
다만 정부의 적극적인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업계는 불만이 가득한 모습이다. 명확한 기준이나 대책없이 무작정 단속과 유해제품으로 규정하는 정부의 행보가 못마땅하다는 얘기다.
옥시파문 이후 환경부는 소비자 사이에 퍼지는 괴담이나 불안감까지 모두 잡아내겠다며 업계를 발칵 뒤집어 놓은 상황이다. 환경부는 최근 한국P&G 페브리즈에 이어 섬유유연제 등도 해당 업체에 성분표시 요청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갑작스러운 정부 움직임에 업계는 당황스럽다는 반응이다. 옥시 파문을 최소화하겠다는 정부 의도가 땜질식 처방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한국P&G 페브리즈가 대표적 땜질 처방으로 꼽힌다.
한국P&G는 지난 16일 환경부가 페브리즈 살균제 성분을 공개하라는 요청에 즉각 보도자료를 내고, 제품 자체에 이상이 없음을 공식 해명했다.
환경부 입장에서는 소비자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라고 강조하지만, 사전 자료조사도 없이 페브리즈를 ‘유해제품’으로 의심한 부분이 소홀했다는 게 업계와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옥시 제품으로 인해 소비자 불안감이 높아진 것을 잘 안다. 업계도 어떻하든 신뢰회복에 동참하고자 노력 중이다”라고 전제한 뒤 “그러나 정부가 최근 관련 대책을 내놓은 것을 보면 기업 모두를 마치 범죄자인 양 취급한다. 모든 규정을 다 지키는 기업 입장에서는 아쉬운 부분”이라고 토로했다.
이처럼 업계에서는 지금까지 환경부가 고시한 법을 준수한 제품까지 사장되는 분위기라며 정부가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면 혼란만 부추길 수 있다는 입장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생활화학제품에 대한 정확한 성분표시가 표기되지 않았던 만큼, 이를 통해 제품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작업”이라며 “기업들 반발도 있겠지만 시장 안정화 차원에서 (기업들이) 협조해 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실제 환경부는 17일 법상 관리대상 품목(15개) 중 331개 제품에 대한 안전기준 조사결과를 발표했자. 그러나 이 역시 뒤늦게 공개해 늑장대응이라는 비난을 받고 있다.
이 조사는 이미 지난해 7월부터 올해 1월까지 일제조사가 끝났고, 적발된 제품들도 모두 4월까지 폐기처분 된 상태다. 환경부가 옥시 파문이 확산되자 지난 자료를 들춰내 진화용으로 사용했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환경부 관계자는 “가습기 살균제처럼 유해 우려가 높을 정도가 아니라고 판단했다. 이번 적발된 품목은 긴급하게 위해하지 않다”고 해명했다.
한편 환경부는 빠르면 다음주 초 애경, LG생활건강, 한국P&G 등 대기업 5곳에서 생산하는 모든 생활화학제품의 성분 공개를 요구할 예정이다.
환경부 관리 대상에 적용되는 생활화학제품은 ▲세정제 ▲합성세제 ▲표백제 ▲섬유유연제 ▲코팅제 ▲접착제 ▲방향제 ▲탈취제 등 기존 8개 제품군 이외에 ▲방청제 ▲김서림방지제 ▲물체 탈염색체 ▲문신용 염료 ▲소독제 ▲방충제 ▲방부제 등 모두 15개 품목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