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 업계가 조사한 결과를 보면 공유경제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10명 중 2명(16%)도 되지 않았다. 전체 중 55.6%는 잘 모르거나, 전혀 모른다고 답했다. ‘공유경제 기업을 안다’고 대답한 비율이 5.2%에 불과한다는 조사결과도 있다.
중국 국가정보센터 정보화연구부의 발표에 따르면 2015년 중국 공유경제 규모는 1조9500억 위안에 달했다. 또 공유경제 서비스 제공자는 약 5000만명, 공유경제 활동에 참가한 수는 5억명을 초과했다. 일본의 야노 경제연구소는 일본 공유경제 시장규모가 2014년 232억엔에서 연평균 18.7%씩 성장해 2018년엔 462억엔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는 아직 미약한 수준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조사를 보면 우리나라의 공유경제 규모는 2013년 기준, 약 4700억원에서 7300억원이다. 이는 전 세계 대비 약 2.8~4.4% 정도에 불과하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미국 경제가 축소되며 성장세가 주춤해지자 소비를 줄이려는 욕구가 중산층 사이에서 커짐에 따라 활성화 된 공유경제는 일상 소비를 재편성할 수 있어야 활성화 될 수 있다. 하지만 자동차 공유를 기반으로 하는 쏘카, 그리고 주차장 정보를 공유하는 모두의 주차장 등 국내 대부분의 공유경제 기업은 한정된 품목만을 다루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공유경제가 대중화되려면 자동차나 집처럼 최고가의 물건만이 아니라 일상 속자주 사용하지 않는 물건을 셰어링 할 수 있고 기간 또한 사용자가 마음대로 정할 수 있어야 한다.
구매 후 자주 사용하지 않는 주스기, 사용 시기가 지난 육아용품, 트렌디한 IT 제품 등을 대중이 필요에 따라 기간을 정해 셰어링 할 수 있다면 더욱 많은 소비자가 공유경제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해 대중화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공유경제의 대중화가 시급한 시점에, 수많은 공유 서비스 중 셰어링 포털을 지향하고 있는 공유경제 플랫폼 ‘쏘시오’는 단연 눈에 띈다.
나인 봇이나 고프로 같은 트렌디한 IT 제품이나, 젠하이저나 보스 같이 써보고 싶지만 쉽게 살 수 없는 명품 음향기기, 그리고 휴롬이나 필립스 제면기처럼 많은 주부들이 선망하는 트렌디한 가전제품들과 퀴니나 카펠라 유모차같이 사용 시기가 짧지만 아이에게 꼭 필요한 다양한 육아용품 등 다양한 생활 속 상품이 공유되고 있어 공유경제가 우리 생활 속 가까이 다가오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평을 듣고 있다.
지난달 그랜드 오픈 한 셰어링 포털 쏘시오는 오픈 50여 일 만에 앱 50만 다운로드를 돌파하는 등 인기를 끌고 있다. 최근 가장 인기 있는 셰어링 상품은 ‘엑티비티가든 유아용 체육관’같은 육아용품과 ‘나인봇 미니’ 같은 취미용품이었다.
쏘시오는 큐레이션 서비스와 P2P 셰어링 생태계 조성, 그리고 기존 셰어링 사업자와의 업무 제휴를 통해 셰어링 포털로 자리매김 하겠다는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