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대기업 58.1%, 노조반대로 공정인사 시스템 도입 어려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5-18 17:4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경총, 인식·대응 방안 발표

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대기업이 정부의 ‘공정인사’ 지침을 도입하는 데 있어서 노동조합의 반대를 가장 어려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18일 공개한 공정인사 지침에 대한 인식과 대응 방안에 따르면, 1000명 이상 대기업의 58.1%(62개 기업 중 36개)가 정부 지침에 따라 인사시스템을 개선할 때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분야로 ‘노조 반대’를 꼽았다.

경총은 지난달 18일부터 지난 11일까지 전국 162개 기업을 대상으로 이 같은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그 다음은(복수응답 가능) ‘적용 가능한 인사평가모델이 없다’(24.2%), ‘재교육 및 배치전환 등 여건이 안 된다’(21.0%), ‘지침 적용을 위한 인사노무 관리 역량이 부족하다’(8.1%) 등 순이었다.

응답자 중 노조가 있는 기업의 50.5%(109개 중 55개)도 노조 반대가 가장 큰 어려움이라고 답했다.

그러나 162개 전체 응답자를 놓고 보면 ‘적용 가능한 인사평가모델이 없다’가 35.2%로 가장 많았다.

이어 ‘노조 반대’(34.6%), ‘재교육 및 배치전환 등 여건이 안 된다’(29.6%), ‘지침 적용을 위한 인사노무 관리 역량이 부족하다’(25.3%) 등 순이었다.

특히 300인 미만 규모의 기업은 40.5%가 ‘적용 가능한 인사평가모델이 없다’를 가장 큰 어려움으로 여겨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인사평가모델 개발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분석됐다.

경총 관계자는 “기업특성에 맞는 인사평가 모델 개발과 중소·영세기업 컨설팅 등 지침 안착을 위한 정부의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런 가운데 전체 응답자의 63.6%는 지침 발표 이후 인력운영제도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고 답했고 분야별로 보면 평가(44.4%), 퇴직관리·해고(19.8%), 임금 등 보상(19.1%)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평가와 해고에 관심이 많은 이유는 고용노동부가 지난 1월 22일 발표한 공정인사 지침에 현저한 저성과자를 해고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