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국내 주요 업종단체들이 현재 생산품에 대해 공급과잉 상태라고 보고 있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국내 주요 업종단체 30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90%(27곳)가 주력 생산품이 공급과잉 상태라고 응답했다고 19일 밝혔다.
공급과잉 해소시점에 대해서는 10년 이상 장기간 지속될 것이라는 응답이 8곳(29.6%)이었으며 3년 이내 해소될 것이라 예측한 곳이 8곳(29.6%), 5년 이내라는 응답은 6곳(22.3%)으로 조사됐다.
공급과잉 상황이라고 밝힌 업종단체(27곳) 중 12곳(38.6%)이 경쟁국의 시장진입 증가를 가장 큰 요인으로 지목했으며,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른 단기적 수요 감소(9곳·29.0%)를 다음 원인으로 꼽았다.
조사 결과에 대해 추광호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공급과잉 문제를 국내 차원이나 단기적 관점에서만 보고 다운사이징 중심의 구조조정을 하는 경우, 향후 경기 회복 시점에서 사업기회 자체를 날려버리고 경쟁국에게 기회를 이전시키는 교각살우(矯角殺牛)가 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추 본부장은 이어 “현재 상황에 따라 옥석을 가리는 구조조정도 중요하지만, 불황의 원인이 외부적 요인이 큰 만큼 미래 경기 회복과 글로벌 경쟁력 보유여부를 판단해 보릿고개 동안 체력 유지를 위한 구조지원도 함께 검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의 경기상황에 대해서는 절반 이상 업종(17곳, 56.7%)에서 장기불황 상황이라고 인식했다. 7곳(23.3%)은 일시적 경기부진으로 보고 있으며, 6곳(20%)이 일시적 경기호전 국면으로 응답해 전체의 80%가 현 경기상황을 불황이라 인식하고 있다.
산업의 성장성 측면에서도 고도 성장기나 완만한 상승기로 응답한 곳은 전체 30곳 중 4곳(13.3%)에 불과한 반면, 26곳(86.7%)이 성장정체기 및 사양화 단계라고 응답해 산업의 고령화 역시 우려되는 수준으로 새로운 성장 산업의 태동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불황이 지속될 시 업종별 가장 우선해야 할 조치를 묻는 질문에는 응답단체의 38.0%가 감산 또는 조업단축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투자축소(20.0%)도 높은 응답을 기록해 자산 매각이나 사업 분할을 통한 다운사이징보다는 미래 경기 회복국면에 대비하기 위한 단기 불황대처 중심으로 대응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체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는 신시장 진출 12곳(21.1%), 이어 연구개발 확대(10곳· 17.5%), 핵심사업 중심 사업개편(10곳·17.5%), 핵심기술 보유(9곳·15.8%) 순으로 나타나 대부분의 업종에서 시장 확대와 기술 확보를 경쟁력 향상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았다.
정부가 우선해야 할 정책에 대해서는 15곳(26.3%)이 ‘기업규제완화’라고 대답했고 ‘신성장 동력 발굴·육성’(13곳·22.7%), ‘신시장 개척 지원’(12곳·21.1%)도 높은 비율로 응답했다. 산업계는 규제완화, 신성장 동력과 신시장 개척 지원 등 정책방향을 희망하고 있었다.
추 본부장은 “국내 산업이 글로벌 공급과잉과 경기침체로 인해 매우 어려운 상황에 빠져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규제완화와 신성장동력 확보를 통해 기업환경을 개선하고 새로운 수요를 창출해 공급과잉을 넘길 경우, 국내 산업의 경쟁력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국내 주요 업종단체 30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90%(27곳)가 주력 생산품이 공급과잉 상태라고 응답했다고 19일 밝혔다.
공급과잉 해소시점에 대해서는 10년 이상 장기간 지속될 것이라는 응답이 8곳(29.6%)이었으며 3년 이내 해소될 것이라 예측한 곳이 8곳(29.6%), 5년 이내라는 응답은 6곳(22.3%)으로 조사됐다.
공급과잉 상황이라고 밝힌 업종단체(27곳) 중 12곳(38.6%)이 경쟁국의 시장진입 증가를 가장 큰 요인으로 지목했으며,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른 단기적 수요 감소(9곳·29.0%)를 다음 원인으로 꼽았다.
추 본부장은 이어 “현재 상황에 따라 옥석을 가리는 구조조정도 중요하지만, 불황의 원인이 외부적 요인이 큰 만큼 미래 경기 회복과 글로벌 경쟁력 보유여부를 판단해 보릿고개 동안 체력 유지를 위한 구조지원도 함께 검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의 경기상황에 대해서는 절반 이상 업종(17곳, 56.7%)에서 장기불황 상황이라고 인식했다. 7곳(23.3%)은 일시적 경기부진으로 보고 있으며, 6곳(20%)이 일시적 경기호전 국면으로 응답해 전체의 80%가 현 경기상황을 불황이라 인식하고 있다.
산업의 성장성 측면에서도 고도 성장기나 완만한 상승기로 응답한 곳은 전체 30곳 중 4곳(13.3%)에 불과한 반면, 26곳(86.7%)이 성장정체기 및 사양화 단계라고 응답해 산업의 고령화 역시 우려되는 수준으로 새로운 성장 산업의 태동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불황이 지속될 시 업종별 가장 우선해야 할 조치를 묻는 질문에는 응답단체의 38.0%가 감산 또는 조업단축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투자축소(20.0%)도 높은 응답을 기록해 자산 매각이나 사업 분할을 통한 다운사이징보다는 미래 경기 회복국면에 대비하기 위한 단기 불황대처 중심으로 대응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체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는 신시장 진출 12곳(21.1%), 이어 연구개발 확대(10곳· 17.5%), 핵심사업 중심 사업개편(10곳·17.5%), 핵심기술 보유(9곳·15.8%) 순으로 나타나 대부분의 업종에서 시장 확대와 기술 확보를 경쟁력 향상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았다.
정부가 우선해야 할 정책에 대해서는 15곳(26.3%)이 ‘기업규제완화’라고 대답했고 ‘신성장 동력 발굴·육성’(13곳·22.7%), ‘신시장 개척 지원’(12곳·21.1%)도 높은 비율로 응답했다. 산업계는 규제완화, 신성장 동력과 신시장 개척 지원 등 정책방향을 희망하고 있었다.
추 본부장은 “국내 산업이 글로벌 공급과잉과 경기침체로 인해 매우 어려운 상황에 빠져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규제완화와 신성장동력 확보를 통해 기업환경을 개선하고 새로운 수요를 창출해 공급과잉을 넘길 경우, 국내 산업의 경쟁력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