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경제 DB]
아주경제 조현미 기자= 전국 어린이집 교사 1만5000여명이 오늘 서울에 모여 정부가 7월부터 시행하는 '맞춤형 보육'에 반대하는 집회를 연다. 이에 따라 일부 어린이집은 운영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한어총)는 23일 낮 12시 서울광장에서 '맞춤형 보육 제도 개선 및 시행연기 촉구 결의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날 집회는 맞춤형 보육제도의 개선과 시행 연기를 요구하기 위한 것이다. 맞춤형 보육은 48개월 미만 자녀를 둔 홑벌이 가구는 하루 7시간까지만 무상으로 어린이집에 아이를 맡길 수 있는 제도로, 7월부터 시행에 들어간다.
한어총은 "맞춤형 보육료는 종일형의 80% 수준인데, 맞춤형 영아가 오후 3시에 하원하는 것을 제외하면 종일형 영아와 같은 수준의 보육서비스, 특별활동, 급·간식 등이 포함된 만큼 감액 근거가 부족하다"고 지적하고 "오히려 추가 차량운행 등의 비용 상승 요인에 있다"고 주장했다.
참석 인원은 1만5000여명에 달한다. 이들은 서울광장 행사를 마친 후 서울역까지 가두행진을 할 예정이다.
참석자가 대규모에 달하는 만큼 일부 어린이집은 정상적인 운영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한어총 관계자는 "어린이집 보육교사 전원이 아닌 일부만 참석하므로 큰 보육공백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