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초․중등학교 역사교육을 개선하기 위해 17개 시․도 교육청과 함께 ‘역사교원 역량강화 사업 계획’을 마련하고 역사교육 우수수업사례 공모 등에 나선다고 25일 밝혔다.
역사교육 우수수업사례 공모전은 서울교육청 주관으로 학교현장의 우수한 수업사례를 발굴‧확산하기 위해 실시한다.
단순히 우수수업사례를 추천받아 심사‧시상하는 것에서 벗어나 응모자들의 집합 연수 및 수업컨설팅 등을 실시해 우수 수업을 함께 만들어가는 방식으로 운영할 예정으로 창의성, 교육과정과의 적합성, 현장 적합성 등을 평가해 교과영역과 창의적체험활동 영역에서 총 30개팀을 선발할 예정이다.
교육과정과 연계한 국내‧외 역사 유적지 현장답사는 그동안 역사교원들의 숙원 사업으로 역사현장을 체험하고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수업의 현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올해는 국내의 경우, 지역 중심으로 향토 사학자와 소통하고 협력해 유적지의 심층이해와 함께 수업에 흥미와 재미를 더할 수 있는 자료 및 이야기 발굴에 역점을 두고 운영하고 국외의 경우 국권수호운동 및 항일독립운동에 중점을 두면서 중국 하얼빈과 상하이, 러시아 블라디보스톡, 일본 등을 답사하는 과정에서 치열했던 애국 선열 및 지사들의 삶과 정신을 체험하고 자료를 수집할 계획이다.
선발은 국내 30개팀, 국외 35개팀 등 총 65개팀으로 운영하고 답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는 자료집으로 개발해 학교에 보급할 예정이다.
역사교육 연구 활동 지원 사업은 대전교육청 주관으로 교직사회 연구 협력하는 분위기 조성과 협력을 통해 양질의 자료를 개발하고 확산하도록 교과연구회를 지원한다.
연수 및 전문가 컨설팅을 통해 연구회의 운영 방향 및 방법, 자료개발에서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연구결과물 등 우수사례는 전국 역사교사 대상 발표회와 자료집 개발‧보급 등을 통해 공유하고 확산할 계획이다.
대전교육청은 지난 4월 선발한 전국 30개 교과연구회를 대상으로 활동비 지원 및 연수‧컨설팅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역사 교원 역량 강화 연수는 경남교육청 주관으로 역사 교원들에게 최근의 역사 연구 성과와 수업방법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되 2015 역사과 교육과정 도입에 따라 새 교육과정에 부합하는 내용학과 함께 수업 및 평가 방법을 강화했다.
연수과정은 15시간부터 210시간까지 단기 및 심화 연수 등 다양한 과정으로 개설하고 연수과정을 국사편찬위원회, 동북아역사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등 역사전문기관이 직접 운영해 역사에 대한 전문적 수준의 연수가 되도록 했다.
연수 활동에 토론‧발표 및 체험‧답사 등 참여형 활동도 포함해 역사에 대한 심층논의와 함께 역사수업을 학생 참여형 수업으로 개선하는 데에 도움이 되도록 구성했다.
이번 사업 성과는 각 사업별 발표회 및 자료전시와 현장보급 등을 통해 다양한 자료와 경험들이 학교 현장에 공유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