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5/26/20160526091317486870.jpg)
[김영배 경총 상임부회장]
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김영배 한국경영자총협회 상임부회장은 26일 “최근 구조조정이 진행 중인 조선업종의 경우 회사들은 위기 극복에 전력을 다하고 있으나, 노조들은 기득권을 지키기 위한 주장만 하고 무조건 재벌이 책임을 지라고 요구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 부회장은 이날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경총포럼 인사말에서 “20대 총선 이후 노동계는 여소야대 정국을 최대한 활용해 다양한 현안을 부각시키며 기업에 대한 투쟁을 강화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진보시민단체와 연대한 대기업 대상 규탄집회가 연이어 개최되고 있다”며 “대기업 협력업체의 노사관계를 대기업의 문제로 확산시키려는 시도가 만연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민주노총은 총선과정에서 여당이 패배하면서 이 기회를 틈타 ‘재벌이 문제야 재벌이 책임져 공동행동’을 발족해 대(對)재벌 투쟁을 강화하고 있다”면서 “금속노조가 유성기업 조합원의 자살을 현대자동차의 책임으로 돌리는 것 역시 재벌투쟁의 일환으로 판단된다”고 주장했다.
김 부회장은 노동계의 이 같은 움직임은 유럽 선진국과 상반된 모습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영국, 프랑스 같은 유럽 경제대국은 치솟는 실업률을 끌어내리기 위해 노동개혁을 단행하고 있다”면서 “영국은 최근 파업 요건 강화 등을 골자로 한 노조법 개정안을 통과시켰고 프랑스에서는 주 35시간제 폐지, 연장근로수당 감액 등을 골자로 한 노동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부회장은 민주노총의 투쟁과 진보시민단체의 활동, 정치권의 친(親)노동계 행보 등 기업경영을 둘러싼 환경이 매우 좋지 않은 상황으로 판단했다.
그는 “이런 상황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 일각에서는 이를 경영자와 기업의 책임으로 돌리는 사회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는데 이는 기업의 투자의욕과 경영의지를 더욱 저하시켜 경제 회복을 더디게 하고 일자리 감소로 이어질 수 있어 매우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김 부회장은 그러면서 “이럴 때일수록 경영계는 노동계의 불법투쟁과 여론전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경제위기 극복과 일자리 창출에 주력할 수 있도록 공조체계를 한층 더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부회장은 이날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경총포럼 인사말에서 “20대 총선 이후 노동계는 여소야대 정국을 최대한 활용해 다양한 현안을 부각시키며 기업에 대한 투쟁을 강화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진보시민단체와 연대한 대기업 대상 규탄집회가 연이어 개최되고 있다”며 “대기업 협력업체의 노사관계를 대기업의 문제로 확산시키려는 시도가 만연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민주노총은 총선과정에서 여당이 패배하면서 이 기회를 틈타 ‘재벌이 문제야 재벌이 책임져 공동행동’을 발족해 대(對)재벌 투쟁을 강화하고 있다”면서 “금속노조가 유성기업 조합원의 자살을 현대자동차의 책임으로 돌리는 것 역시 재벌투쟁의 일환으로 판단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영국, 프랑스 같은 유럽 경제대국은 치솟는 실업률을 끌어내리기 위해 노동개혁을 단행하고 있다”면서 “영국은 최근 파업 요건 강화 등을 골자로 한 노조법 개정안을 통과시켰고 프랑스에서는 주 35시간제 폐지, 연장근로수당 감액 등을 골자로 한 노동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부회장은 민주노총의 투쟁과 진보시민단체의 활동, 정치권의 친(親)노동계 행보 등 기업경영을 둘러싼 환경이 매우 좋지 않은 상황으로 판단했다.
그는 “이런 상황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 일각에서는 이를 경영자와 기업의 책임으로 돌리는 사회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는데 이는 기업의 투자의욕과 경영의지를 더욱 저하시켜 경제 회복을 더디게 하고 일자리 감소로 이어질 수 있어 매우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김 부회장은 그러면서 “이럴 때일수록 경영계는 노동계의 불법투쟁과 여론전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경제위기 극복과 일자리 창출에 주력할 수 있도록 공조체계를 한층 더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